
경찰이 수원에서 발생한 전세사기 의혹과 관련해 임대인 등 관계자를 입건하는 등 신속한 수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16일 경기남부경찰청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 사건의 중심에 있는 임대인 A씨 부부와 아들, 공인중계사 등 총 9명을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현재 고소인들을 상대로 조사가 진행 중에 있으며 피해 상황에 대한 추가 조사와 증거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피고소인인 A씨 등에 대해서는 출국 금지 조치만 내린 상황이며 추후 법리 검토를 마치고 이들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A씨 등은 수도권 일대 부동산 임대 관련 법인을 18개 소유하고 있으며 법인 소유 건물은 수원에만 50여 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소유한 건물은 수원 외 타지에도 있어 피해가 확산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경찰은 피의자 개인 명의로 소유한 세대와 법인 명의로 된 건물과 세대까지 모두 살펴보는가 하면 추가 피해 확인을 위해 고소 건 외 다른 문제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계약 과정을 면밀히 파악해 부동산 중개인(공인중개사 등) 등의 가담이 있었는지도 조사 중”이라며 “신속한 수사를 위해 검찰과 핫라인을 구축해 긴밀히 공조하는 등 만전을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남부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에 따르면 수원 전세사기 의혹과 관련해 이날 기준 총 134명이 고소장을 제출했다. 고소장에 따른 피해규모는 190억 원으로 수원시 160억 원, 화성시에 20억 원가량이다.
이 사건은 한 커뮤니티에서 3500여 건의 고소가 접수된 전세사기 피해가 있다는 게시글이 올라오면서 세간에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경찰은 “해당 게시글에서 언급된 사건이 이번 수원 전세사기 의혹 사건으로 보이는 것은 사실”이라며 “다만 실제 3500여 건의 고소가 접수된 사건은 없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