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강력 범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직재개편을 통한 일선 현장 강화에 나섰다.
29일 경기신문 취재 결과 지난달 윤희근 경찰청장이 내근직을 현장 치안 인력으로 전환할 것을 지시 한 이후 지난 23일 전국 경찰 화상 회의에서 경기남부경찰은 현장 치안 유지를 담당할 ‘형사기동대’와 ‘기동순찰대’ 인력 투입 방안에 대해 확정했다.
경기남부청은 500여 명 규모로 ‘형사기동대’와 ‘기동순찰대’를 구성했다.
형사기동대는 팀당 형사 출신 등 경찰 30명으로 5팀을 꾸려 조직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유흥지역 중심으로 투입된다. 기동순찰대는 팀당 97명에 인원을 4개 팀으로 조직해 다중밀집 시설의 흉악 범죄 대응과 순찰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경찰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주택가 등 시민들이 밀집한 지역에 대한 방범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가령 지난 8월 서현역 묻지마 흉기 난동 사건과 지난 7월 의왕, 이달 26일 수원과 성남 지역 아파트 폭행과 성범죄 사건 등 주택가 밀집 지역에서의 범죄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내근직 인력을 현장으로 돌리면서 지속해 문제 됐던 현장 인력 부족에 대해 한시름 놓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경기남부청 경우 현장 순찰 중심 인력인 순경 계급 경우 정원보다 무려 4000여 명 부족한 5986명에 그쳐 현장 경찰의 피로도가 증가해 현장 치안 대응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조직개편으로 지하철 경찰대 해체, 외국인 범죄를 다루는 외사과 등 일부 기능 폐지 등은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게 됐다.
이에 대해 경찰은 기동순찰대가 지하철 치안을 담당하고, 외사과 등 여러 기능이 폐지돼도 부서가 사라질 뿐 업무는 다른 연관 부서가 맡는 등 업무 재배치로 충분히 해결이 된다는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각종 흉악 범죄로 동종 범죄 재발은 시간문제로 보이는 만큼 이번 조직개편으로 가시적인 치안 활동이 전개돼 범죄 감소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며 “일부 기능이 폐지되지만, 실질적으로 업무는 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