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전력 소비량이 전국에서 가장 많음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국 평균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기업들의 경쟁력 제고는 물론 효과적인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생산 비율을 높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글로벌 RE100 캠페인에 호응하기 위해서도 경기도의 재생에너지 생산 증대를 위한 노력은 배가돼야 한다.
경기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재생에너지 전환 잠재력,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전력 소비량은 13만3445GWh(2021년)로 전국 전력소비의 25%를 차지, 소비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생에너지 발전량(3281GWh)은 전력 소비의 2.5% 규모에 머물러 전국 평균(6.9%)에도 턱없이 미달하는 수준이며, 경기도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약 2.48GW로 시장 잠재량의 고작 3.78%만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탄소배출거래제를 통한 간접적 규제를 넘어서 탄소세를 부과할 경우 경기도 산업의 주력 부문인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와 서비스업 부문 중 ‘운송서비스업’의 생산수요가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연구원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 6일~9일 사이에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서도 도민의 65%는 RE100 규제가 도내 기업의 경쟁력과 지역경제에 압박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설문조사에서 도민들은 기후 위기 대응 녹색 전환 투자가 경기도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느냐는 견해에 대해 77.7%가 동의해 공감도가 매우 높았다. 거주 지역에 재생에너지 시설이 들어서는 것에 대해서도 79.2%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경기도는 올 4월 신재생에너지 9GW 공급을 목표로 기후 위기를 성장 기회로 삼는 ‘경기 RE100 비전’을 선언하고 재생에너지 정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현재의 규제를 모두 적용했을 경우 경기 RE100 목표 이행을 위한 현실적 대안인 태양광 잠재량은 불과 17.36GW로 산정돼 신재생에너지 백서의 시장잠재량보다 낮았다.
현재 각종 토지이용규제로 경기도 전체 면적의 83.3%는 태양광 입지가 불가능하다. 주요 규제를 개선할 경우 설치가능 면적은 약 2배로 증가하며, 12개 시·군의 이격 거리 규제 및 영농형 태양광 규제를 개선했을 때 지상형 태양광 잠재량은 현재 기준에 비해 각각 38.5%, 48.5%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풍력 시범단지 조성과 함께 (소)수력, 바이오, 양수, 조력 등 재생에너지원의 다변화로 재생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확보할 것 등 다양한 조치들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위기 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지구환경 보호를 위한 탄소중립 실천 등 친환경 정책들은 이제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선택과제가 아니다. 지구별의 존속을 위해서, 우리 후손들의 영속을 위해서 반드시 해야만 하는 필수과제가 된 지 오래다. 재생에너지 생산은 그 기본 중에도 기본인 항목이다. 경기도가 친환경 에너지 생산의 선두에 서지는 못 할망정 꼴찌 수준이라는 것은 수치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