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21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참석하는 `4자 회담'을 갖고, `4대 법안' 처리 시기와 방식 등 정국쟁점과 임시국회 정상화 방안에 대한 일괄타결을 시도한다.
17대 국회 들어 여야 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정국경색의 해법을 찾기 위해 한 자리에서 연석회의를 갖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열린우리당 이부영 의장, 천정배 원내대표와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 김덕룡 원내대표가 참석하는 회담에서는 ▲4대 법안 처리 시기와 방식 ▲새해 예산안 심의 정상화 및 연내처리 ▲이라크 파병연장 동의안의 처리 시기 ▲`뉴딜' 관련법 등 민생경제 입법의 처리 일정 등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여야가 핵심 쟁점인 `4대 법안' 처리 시기와 방식에 대해 의견접근을 이룰 경우, 한나라당의 등원과 함께 예산안과 파병연장 동의안의 심의 및 처리가 조속히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협상이 결렬될 경우, 열린우리당은 예산안과 이라크 파병연장 동의안을 오는 23일 본회의에서 단독 처리하고 국가보안법 폐지안 등 4대 법안의 연내처리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어서 내일 회담이 정국의 정상화 여부를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당은 20일 오전 천정배 원내대표가 상임중앙위회의에서 `4자 회담' 개최를 한나라당에 공식 제의한 데 이어, 의원총회를 열어 대야 협상에 대한 전권을 당 지도부에 위임키로 했다.
그러나 천 원내대표는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4대 법안의 여야 합의처리를 전제로 한 국회 정상화' 제안에 대해 "연내 처리 유보제안은 결단코 받아들일수 없다"면서 "소수당이 합의 안하는 법안은 처리할 수 없다는 것은 국회법과 민주주의에 어긋난다"며 `합의처리' 조건을 수용하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후 김덕룡 원내대표 주재로 대책회의를 열어 4자 회담을 수용하기로 하는 등 경색정국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대화에 나서기로 했다.
한나라당이 4자 회담 제안을 수용한 것은 `국가보안법 폐지 반대'라는 원칙론만을 고수하며 여당의 대화 제의를 거절할 경우, 국회 파행에 대한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되고 과반 여당에 일방통행식 국회 운영의 빌미를 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김덕룡 원내대표는 "내일 회담에서는 임시국회의 전반적인 일정을 논의할 것"이라며 "일단 하겠다고 한 이상 우리쪽에서 시간을 끌 이유가 없다"며 국회 정상화에 적극적인 입장을 보였다.
전여옥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모처럼 지도부에 (협상의) 전권을 위임한다는 열린우리당 의원총회의 결정이 내려진 만큼 대화와 타협의 정신으로 제안을 받는 것이 좋다고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우리당내 강경 소장파 의원 30여명은 이날 오후부터 국회 146호실에서 `240시간 의원총회' 형식으로 4대 법안의 연내처리를 요구하는 농성에 들어갔고, 민주노동당 소속 의원들도 국가보안법 폐지를 비롯한 개혁과제 연내 관철을 요구하며 국회 본청에서 24시간 시한부 농성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