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와 연간 실적 모두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
삼성전자는 9일 잠정 실적을 발표하고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258조 1600억 원, 영업이익 6조 5400억 원 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4.6%, 영업이익은 84.9% 감소한 수치다.
삼성전자 연간 영업이익이 10조 원을 밑돈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였던 2008년(6조 319억 원) 이후 15년 만이다.
4분기 매출은 67조 원, 영업이익은 2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9%, 영업이익은 35% 감소했다.
이는 시장에서 예상한 지난해 4분기 컨센서스(최근 3개월간 증권사에서 발표한 추정치의 평균) 매출 70조 3601억 원, 영업이익 3조 7441억 원에 못 미치는 수치다. 단 전분기 대비로는 영업이익은 15.2% 증가했으며, 매출은 0.59% 감소에 그쳤다.
삼성전자는 이날 사업부별 실적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지난해 실적 부진은 누적된 반도체(DS) 부문의 적자 영향이 결정적이었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한파가 계속되는 가운데 DS부문은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12조 원대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반도체 시장 반등 분위기가 점쳐지고 있는 상황에서 4분기에는 적자 폭이 1~2조 원대로 줄어들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 실적 개선 흐름을 보인 것은 고무적이라는 반응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분기(6400억 원)·2분기(6700억 원)에 1조 원 아래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3분기에 2조 4300억 원으로 회복했고 4분기에 2조 8000억 원으로 또 한 번 개선을 이뤘다. 4분기 실적은 적자 폭을 대폭 줄인 반도체 부문의 실적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SDC)도 스마트폰 수요 강세와 2024년 신제품 수요 대응으로 견조한 실적을 거둬 뒷받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효과 감소와 TV·가전 등 수요 부진을 겪은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흑자 폭이 줄었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올해 본격적인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중심으로 고부가 메모리 제품의 수요가 늘고 있고 제품 가격도 상승 흐름에 있다. 비교적 부진한 낸드 또한 올해 흑자로 전환할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다. 증권가는 올해 삼성전자가 약 35조 원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