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인천 민관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율이 2%대에 그쳤다.
18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시립 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 매출액은 총 54억 4400만 원으로, 공공기관이 53억 원(97.4%), 민간기관이 1억 4400만 원(2.6%)을 구입했다.
시는 경쟁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근로 기회 확대와 경쟁력을 높이고자 중증장애인생산품 민간 구매 활성화를 추진한다.
인천에 있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은 모두 45곳이다. 사무용품, 홍보‧인쇄물, 가구, 설비용품 등 다양한 품목을 생산하고 있다.
중증장애인생산품에 대한 구매의무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국가, 지자체, 지방공기업, 출자·출연기관 등 공공기관에만 부여됐다.
결국 민간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율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시는 중증장애인생산품 민간 구매 확대를 위해 보조금 교부 대상(단체·시설)에 보조금 교부조건으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조항을 추가한다.
또 보조사업 수행기관 선정 시 구매실적에 대한 가점을 신설하고, 인천시 우수기업 평가기준에 구매실적을 평가항목으로 추가하는 등 민간기관의 구매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신남식 시 보건복지국장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보호 고용과 근로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기관의 동참이 절실하다”며 “각 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