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현대건설 해외 대형 현장의 공정이 본격화 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현대건설은 2023년 연간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누적 매출 29조 6514억 원·영업이익 7854억 원·당기순이익 6543억 원·신규 수주 32조 4906억 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과 비교해 39.6% 증가한 것으로 목표인 25조 5000억 원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영업이익 증가율도 36.6%에 달한다.
특히 사우디 아미랄 패키지 1·4 등 메가 프로젝트 수주로 해외 수주액은 전년 대비 80.3% 증가한 12조 8684억 원을 기록했다.
국내에서도 신한울 원자력 3·4호기 주설비 공사를 비롯해 남양주 왕숙 국도47호선 지하화공사,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노선 등을 연이어 수주하며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90조 49억 원을 확보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4조 5815억 원, 순현금은 2조 2809억 원이며 유동비율은 179.7%, 부채비율은 126.8%다.
올해 매출 목표는 29조 7000억 원으로 현대건설은 샤힌 프로젝트와 국내 주택 부문 매출, 사우디 아미랄 프로젝트 매출 본격화 등으로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사우디 자푸라 가스전 1단계, 사우디 네옴 러닝터널,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폴란드 올레핀 확장공사 등 해외 대형 현장의 공정이 본격화된 데 이어, 국내 주택 부문의 실적이 반영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현저한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핵심분야 초격차 기술 확보, 에너지 밸류체인 확대, 고부가가치 해외사업 추진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대형원전을 포함한 소형모듈원전(SMR), 원전해체, 사용후 핵연료시설 등 원자력 전반의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이미 독보적인 사업역량을 인정받은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비경쟁·고부가가치의 해외 수주를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