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1·10 부동산 대책’에도...주택사업전망지수 2월도 하락

 

정부가 내놓은 '1·10 대책'에도 불구하고 주택 사업자들이 체감하는 경기 전망은 여전히 어두운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한국주택협회 및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2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64.0으로 지난달에 비해 2.7포인트(p)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6개월째 하락세다.

 

이 수치가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100을 밑돌면 그 반대라는 것을 각각 의미한다.

 

2월 전망지수를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61.7로 전달(60.6)에 비해 소폭 상승했지만, 지난해 8월 이후 하락 추세가 이어졌던 탓에 여전히 60대의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비수도권은 64.5로 전월 대비 3.5포인트 하락했다.

세부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전망지수는 1월 65.9에서 2월 68.1로 2.2포인트, 경기는 같은 기간 57.5에서 62.1로 4.6포인트 각각 상승한 반면, 인천은 58.6에서 54.8로 3.8포인트 하락했다.

지방에서는 제주, 충남, 세종, 울산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대구의 전망지수가 1월 80.9에서 2월 62.5로 18.4포인트 떨어지면서 가장 큰 하락 폭을 나타냈다.

 

주산연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달 10일에 발표한 ‘주택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보완방안’에 대한 기대감은 있으나 고금리 등에 따른 시장 위축으로 사업자들이 체감하는 시장 경기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실질적인 경기 활성화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와 더불어 보다 실효성 있는 시행방안 등 후속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도권에서는 1기 신도시 재정비 등에 의해 일부 영향을 받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업들의 자금 조달 여건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자금조달지수는 66.1에서 58.4로 7.7p 하락했다. 12월 전국 자재수급지수도 6.4p(88→81.6) 하락했다.

자재수급지수는 지난해 9월 기준선(100)을 회복한 이후 5개월 연속 하락 중이다. 통계청 국내공급물가지수에 따르면 국내 건설용 원재료의 가격이 9월 이후 계속 상승해 현재까지 비슷한 경향을 유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사업자들이 느끼는 원자재 가격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주산연 관계자는 “유동성 문제 및 고금리 등 악화된 자금시장의 여건이 지속되는 가운데 태영건설 워크아웃 등 PF 사업장 불안요인이 커지면서 사업자들이 느끼는 자금시장의 불안정성에 따른 위기감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