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펫보험 가입률 여전히 1%대…"제도개선 먼저"

계약건수 1년 새 2배 가량 늘었지만
가입률 1.4%…英·日에 비하면 '저조'
"병원비 제각각, 손해율 측정 어려워"

 

반려동물 키우는 가구가 늘어나면서 펫보험 가입 건수도 늘어나고 있지만 가입률은 여전히 1% 남짓인 것으로 파악됐다. 보험업계에서는 진료코드 표준화, 진료기록부 발급 의무화 등 반려동물 진료와 관련된 제도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펫보험을 취급하는 국내 10개 보험사의 지난해 신계약 건수는 5만 8456건으로 전년(3만 5140건) 대비 6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보유 보험계약건수 합계도 7만 1896건에서 10만 9088건으로 51.7% 증가했다.


펫보험은 반려동물이 질병·상해 등으로 인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경우 발생하는 진료·수술·입원비용을 보장하는 상품이다. 전체 반려동물 개체 수가 약 799만 마리로 추정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펫보험 가입률은 1.4%에 불과하다. 영국(25%), 일본(12.5%) 등 해외와 비교하면 한참 낮은 수준이다. 

 

아직까지 펫보험에 대한 대중적인 인식이 부족하고, 비싼 보험료에 비해 보장되는 영역이 좁아 가입을 주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음 달 카카오페이가 국내 빅5 손보사(삼성·현대·KB·DB·메리츠)와 협력해 보험 비교·추천 플랫폼의 범위를 펫보험으로 확장할 예정이지만, 펫보험 시장 활성화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보험사들이 플랫폼에 지불해야하는 수수료가 지금도 상당한 소비자들의 보험료 부담을 더욱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보험업계에서는 펫보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표준 진료코드가 없고 동물병원마다 병원비가 제각각이라 보험료 산정 및 손해율 관리가 어렵다는 것.

 

특히 수의사법 개정을 통한 동물병원의 진료기록부 발급을 의무화해 반려동물에 대한 과잉진료나 보험사기를 막고, 반려동물의 연령·품종 등에 따른 상품 개발과 보장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 국회에는 동물병원의 동물진료기록부 발급 의무화와 관련 7건의 수의사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여전히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총선 등을 앞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단기간 내에 법안 통과를 기대하기는 사실상 힘들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동일한 질병이라도 동물병원마다 명칭, 진료 항목 등이 다른 데다 진료기록부 발급도 의무가 아니라 영수증만으로 보험금 지급을 결정해야 한다”며 “보험사가 합리적인 보험료와 새로운 담보를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