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KAMA "올해 車 내수 판매·생산 위축…수출은 소폭 늘듯"

고금리·불경기로 신규 수요 줄어
중견 3사 제외 생산도 축소 전망

 

올해 글로벌 경기 부진 영향으로 소비심리가 위축하면서 국내 자동차업계의 내수 판매 및 생산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수출의 경우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시장 수요 정상화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국내 자동차업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이하 KAMA)가 발표한 '2023년 자동차산업 평가 및 2024년 전망(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자동차 업계의 내수 판매는 170만 대, 수출은 280만 대, 생산(상용차 포함)은 422만 대로 추산됐다. 내수와 생산은 전년 대비 2.8%, 0.6% 감소하고, 수출은 1.2% 증가한 수준이다.


KAMA는 지난해 반도체 공급 개선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대기 수요가 소진됐고, 올해는 고금리와 가처분소득 감소 등으로 신차 수요가 줄면서 내수 판매가 줄 것으로 봤다. 또한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와 보조금 축소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금리 인하에 따른 소비 회복과 신차 출시, 10년 이상 노후차에 대한 대체수요 확대로 국내 자동차시장이 살아날 것으로 전망했다.


내수 판매 가운데 국산차는 142만 대, 수입차 28만 대 등으로 전망됐다. 감소폭은 수입차가 5.5%로 국산차 2.3%보다 높았다. 경기 부진과 할부금리 상승 영향이 수입차 판매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다.


내수 위축에 따른 국내 자동차 생산 역시 422만 대로 전년 대비 0.6% 감소할 전망이다. 다만 한국GM,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등 중견 3사는 공급망 불안 해소에 따른 생산 정상화로 국내 공장 가동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GM 한국사업장은 올해 50만 대 생산이 예정됐고, 르노코리아자동차는 하반기 오로라1(하이브리드 신차 개발 프로젝트명)을 포함해 11만 대를 양산할 계획이다. KG모빌리티는 12만 대를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내수와 달리 수출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 주요 선진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 호조와 하반기 금리 인하 등으로 수출은 280만 대로 전년 대비 1.2% 증가할 전망이다. 수출액도 친환경차와 레저용차량(RV) 등 고부가가치 차량 수출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2.3% 늘어난 725억  달러(약 95조 원)로 추산됐다.


다만 1300원 대의 고환율과 중국 전기차업체의 글로벌 판매 강화, 일본업체의 하이브리드차 모델 선전은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AMA는 국내 자동차 업계가 경쟁력을 유지하고 미래 산업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세액공제 기한을 늘리고 소비 지원정책을 촉진하는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KAMA 관계자는 "올해 국내 자동차 업계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 기반 구축과 투자를 시행할 수 있도록 세액공제 기한 연장이 필요하다"며 "개별소비세 감면, 노후차 교체구매 지원 등의 소비 지원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더불어 부품기업 지원을 위한 '미래자동차 부품 산업의 전환 촉진·생태계 육성에 관한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