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5일 임채정 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하는 임시지도체제를 출범시켰다.
열린우리당은 이날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중앙위원회의를 열어 오는 4월 전당대회 이전까지 당을 이끌 임시지도부로 임 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결의했다.
집행위원엔 김태홍, 유기홍, 유재건, 이호웅, 김한길, 김희선 의원과 원외에서 이강철 전 노무현 후보 조직특보와 이해성 부산시 위원장이 선임됐고, 당연직으로 이달말 선출될 원내대표와 홍재형 정책위의장이 포함됐다.
앞서 열린우리당은 의원총회와 중앙위원회 연석회의를 열어 4월 전당대회 출마예정자들을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배제키로 하고 이번달에 새로 선출될 원내대표의 임기를 1년으로 하기로 했다.
열린우리당은 당초 비대위가 원내대표 경선과 4월초 전당대회까지 당을 중립적으로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당 지도부 경선 출마자들을 배제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지도부의 무게감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출마 예상자들을 포함시키는 대신 후보 등록과 동시에 비대위원직을 사퇴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당내 모든 계파들이 온건 중도 성향의 임채정 비대위원장 체제를 동의한 것은 국가보안법 처리를 놓고 불거진 갈등 양상이 지속될 경우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원내대표 권한대행인 홍재형 정책위의장은 연석회의 모두 발언에서 "우리 모두 비상한 각오를 갖고 있는 만큼 작은 차이는 극복하고 서로가 흔쾌히 동의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특히 비대위 출범과 맞물려 소장 강경파들이 국보법 폐지에 매달리지 않겠다는 유연한 입장을 밝히면서 열린우리당 내 강온파간 노선 갈등은 당분간 잠복기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강경파들의 태도 변화는 원내대표와 전당대회 승리를 위해선 온건 중도 성향을 끌어안아야 된다는 전략적 판단에서 비롯됐다는 분석도 있다.
임채정 신임 의장은 "자신은 4월초 전당대회까지 3개월짜리 당 의장"이라고 전제한 뒤 "비온 뒤에 땅이 굳어지기 위해서는 구성원 모두의 전폭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해직기자 출신인 임 임시 의장은 전략가인데다 추진력과 균형감각까지 겸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당 안팎에선 지도부 공백 사태를 빚은 집권 여당을 4월 2일 전당대회 전까지 무난하게 이끌어 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달말로 예정된 원내대표 경선 과정에서 소장 강경파나 개혁당파들이 선명 개혁 노선으로 차별화를 시도할 경우 노선 갈등이 재연될 소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