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임신과 출산 의향이 있지만 여건상 이를 미뤄야 하는 사람들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돕기 위해 난자·정자 동결시술비를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지난 14일 도는 도청 서희홀에서 제6차 인구·저출생 TF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난자·정자 동결시술비 지원정책을 논의했다.
난자·정자 동결시술비 지원은 만혼 추세와 평균 출산연령 증가, 난임 시술건수 증가에 따른 정책이다.
난자·정자를 동결하려면 1회당 시술비로 약 250~500만 원이 필요한데 건강보험 급여항목에 해당되지 않아 경제적 부담이 크다.
지원 내용은 난자·정자 채취를 위한 사전검사비, 시술비, 초기 보관비(생애1회) 등이다.
대상은 도 거주 20~49세 남녀 600명으로 여성은 최대 200만 원, 남성은 최대 30만 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도는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제도 협의 등 사전절차를 거쳐 내년 시행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 도는 점점 증가하는 난임․우울증에 대한 상담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권역 난임우울증상담센터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도는 난임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지난해 7월 난임시술 지원사업의 소득기준을 폐지했다. 지난 1월에는 ‘도 6개월 이상 거주’에서 ‘신청일 기준 도 거주’로 거주기준도 변경했다.
지난 2월부터는 21회로 제한된 시술 지원 기준을 25회로 확대하고 지난 6월부터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의 여성 나이별 시술금액 차등 지원 기준을 폐지했다.
한편 ‘경기도 인구·저출생 TF’은 다양한 청년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거점형 청년공간 43개를 운영하고 있다.
또 청년들이 자연스럽게 만나고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생활밀착형 청년공간으로 카페, 공방 등 민간시설 104개소를 운영 중이다.
[ 경기신문 = 이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