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안 표결이 예정된 7일 대규모 인파와 트래픽 급증에 대비하기 위해 통신·포털업계가 비상 대응 체제를 가동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물론, 네이버와 카카오 등 주요 포털 사업자까지 서비스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동통신 3사는 대규모 집회와 시위로 인한 트래픽 폭증과 통신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기지국 차량을 배치하고 기지국 용량을 확충했다. 특히 KT는 과천 관제센터에 중앙상황실을 개설해 전국적인 통신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6개 광역시에 상황실을 추가로 설치하고 주요 시설의 통신망을 집중 점검하고 있다”며 “광화문, 용산, 여의도 등 대규모 인파가 몰릴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이동기지국을 가동해 통신 안정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에도 통신망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며, “크리스마스나 새해처럼 트래픽이 급증하는 상황을 꾸준히 대비해온 만큼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비상 상황에 따른 사이버 공격 가능성을 우려해 24시간 감시 체계를 한층 강화했다. 현재 사이버 위기 경보는 ‘관심’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주의’ 단계 수준에 준하는 모니터링 체계를 운영 중이다.
KISA 관계자는 “외부 세력의 사이버 공격 가능성에 대비해 각 기업에 보안 점검을 요청했다”며, “국내 네트워크와 시스템이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주요 포털업체도 트래픽 급증에 따른 서비스 장애를 막기 위해 대응 태세를 강화했다.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검색과 커뮤니티 서비스 이용량이 폭증하며 일시적 장애를 겪은 학습효과를 반영한 조치다.
네이버는 평소보다 확장된 트래픽 수용 범위를 마련하고, 비상근무 인력을 추가 배치했다. 카카오는 카카오톡과 다음(Daum)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비상 대응 체제를 구축하고, 서버 확충과 특별 모니터링 기간을 설정했다.
포털업계 관계자는 “탄핵 정국 속에서 국민들이 실시간 뉴스와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일이 크게 늘었다”며 “포털 서비스가 국민 소통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은 만큼, 장애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이효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