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미래상이 균형발전에 초점을 맞춰 바뀌었다.
2일 인천시는 2040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을 확정하고 이를 공고했다.
당초 슬로건인 ‘행복하게 세계로 나아가는 환경도시 인천’은 ‘어디서나 살기 좋은 글로벌 도시 인천’으로 변경됐다.
변경안은 상위계획인 ‘2040년 수도권광역도시계획’과 최근 제정된 ‘노후계획도시 정비법’, ‘철도지하화 특별법’ 등 관련 법률을 반영했다.
특히 원도심과 신도시 간의 균형 발전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도시 외곽의 공유수면 매립지에는 구체적인 건축계획이 마련된 이후 용도지역을 결정하는 시차지역제(Timing Zoning)가 도입됐다.
환경도시 인천도 이어간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도 포함됐기 때문이다.
인천의 탄소배출량 중 57.1%가 발전 부문에서 발생하는 점을 고려해 2045년 인천시 탄소중립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영흥화력발전소 부지를 조정하고 체계적 발전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계획적인 탄소중립 목표를 조기에 실현할 방침이다.
또 오는 2026년 예정된 행정구역 개편에 대비해 지역 특성에 맞는 유연한 개발을 지원하는 인천형 유연지역제도의 일환인 유동지역제를 도입한다.
글로벌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국제경쟁력 갖추기에도 몰입한다.
유엔 정주환경의 지속가능성 지표를 반영해 도시 성장의 세계적 트렌드인 지속 가능성을 선도하며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도시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철 시 도시계획국장은 “기존 도시기본계획은 토지이용계획과 인구계획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급변하는 도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특화 정책과 전략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은 인천 전역에서 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정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