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천대학교는 2025년 1월 9일, 대학 컨벤션센터에서 ‘이차전지 기술의 미래(The Future of Secondary Battery Technology)’를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렸으며, 정부출연연구소와 기업 연구자 등 300여 명이 참석해 이차전지 분야의 최신 기술과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와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연구재단(NRF)이 공동 주최했으며, 세계적 석학과 국내 전문가들이 참여해 이차전지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가천대의 특성화 전략을 강화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는 윤원중 부총장의 환영사로 시작됐으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과 소재를 주제로 두 개의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은 ‘배터리 기술과 소재 혁신(Pioneering Innovations in Battery Technologies and Materials)’로, 시카고대학교 셜리 멍(Y. Shirley Meng) 교수가 ‘전고체 배터리의 신소재 설계와 발견(All Solid State Battery – A Platform for New Materials Design and Discovery)’을 발표하며 시작됐다. 이어 연세대 정윤석 교수와 LG에너지솔루션 이재헌 박사가 각각 고에너지 전고체 배터리의 과제와 LG의 첨단 배터리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셜리 멍 교수가 ‘테라와트시 에너지 전환 – 더 나은 배터리를 위한 경쟁(Tera Watt-Hour Energy Transition – The Race for Better Battery)’을 주제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미래를 조망했다. 이어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유지상 박사가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기술 발전 현황을 소개했다.
셜리 멍 교수는 320편 이상의 논문과 H-지수 115를 기록한 세계적 석학으로, 배터리 연구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 높은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다수의 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가천대학교는 2022년 배터리공학전공을 신설하고, 실습 중심의 교육 환경을 구축해 이차전지 전문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정부 주관의 첨단분야 인력양성 사업과 혁신융합대학 사업에 선정돼 ▲이차전지 소재/분석 ▲이차전지 제조/공정 ▲이차전지 진단/안전 ▲이차전지 장비/시스템 ▲이차전지 자원순환 등 5대 분야에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윤원중 부총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이차전지 분야의 최신 성과와 산업 동향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참석자들이 지식과 아이디어를 나누며 함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정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