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밭에서 작물을 캐 간다는 신고가 주말에 하루 3~4건은 들어와요.”
‘인천 i-바다패스’ 사업으로 섬 관광객이 늘었지만 옹진군에선 임산물 불법 채취로 인한 주민 피해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지난 3월 인천항 연안여객선의 이용객은 6만 2896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4만 8374명) 대비 30% 증가했다.
시내버스 요금(편도 1500원) 또는 70% 할인된 가격으로 인천 섬을 오갈 수 있게 되면서 관광 수요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섬 주민 소득 증대, 지방세 수입 증가, 생활인구(관광객) 확대로 인구소멸방지 등 3가지 효과를 기대했다.
특히 관광객 일인당 기준, 평일 약 1만 1000원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봄철 관광객 증가로 임산물 불법 채취도 잇따르면서 자월면 주민들은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3~4배 더 피해가 늘었다고 호소한다.
산림 내 임산물 불법채취는 엄연한 절도행위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대이작도 주민 A씨는 “푸대에 고사리나 개두릅, 엄나무 등 벙구나물을 10㎏ 정도 가져가는 경우도 있었다”며 “아예 가방과 비닐봉지까지 가져 와 전문적으로 캐 가는 외지인들도 보인다”고 한숨을 쉬었다.
일을 마친 뒤 오후에 나물을 캐러 밭에 가면 작물이 ‘싹쓸이’ 돼 있다는 설명이다.
김유화 자월면장은 “배를 타고 떠나기 전 대이작도에서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이 다른 섬들보다 길어 우리 면이 피해가 유독 크다”며 “임산물은 주민들의 큰 소득원 중 하나인데 생계에도 지장이 갈 수 있다 ”고 토로했다.
군은 지난달 15일부터 오는 31일까지 ‘임산물 불법 채취 집중단속’을 통해 관련 전광판 송출, 현수막 홍보 활동 등을 하고 있다.
군 내 70여 명의 산불감시원도 함께 단속과 계도 활동을 하고 있지만 문제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다.
산림을 내내 감시할 수 없는데다 적발된다 해도 실제로 고발 등 법적 절차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그럼에도 시는 대책 강구는커녕 아직 상황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애초에 시가 관광 활성화에만 집중하고 i-바다패스 사업 부작용에 대한 대비는 부족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신영희 인천시의원(국민의힘·옹진)은 “섬에 관광객이 이전보다 많이 들어오면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다”며 “관광객들이 준법 의식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i-바다패스 사업과 관련해 나타난 부작용 등을 개선하기 위해 시와 함께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