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실에서 학생이 교사를 폭행하는 사건부터 일부 교사들의 성차별적 발언까지, 학교폭력뿐만 아니라 교실 내 교사와 학생 간 갈등이 극에 치닫고 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6일 경기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서울의 한 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수업 중 휴대전화 게임을 제지했다는 이유로 학생이 휴대전화를 쥔 손으로 교사를 폭행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교권 훼손을 넘어 사회를 충격에 빠트린 '교육 시스템 붕괴' 사건에 경기 지역 교원 단체들도 한 목소리로 우려를 표했다. 경기교사노동조합은 논평을 통해 "현재 교실은 책임 없는 권리만 남발되고 있다"며 "학생은 보호받아야 할 존재임과 동시에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배워야 하는 교육의 주체"라고 비판했다.
특히 "이는 단순한 '교권보호위원회' 사건으로 끝날 교육 현장의 문제가 아닌 사회가 만든 구조적 비극"이라며 "교실 보호를 위한 시스템 마련과 더불어 관리자, 교육청, 보호자가 함께 책임을 나누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교육부가 공개한 교권보호위원회 개최 관련 자료에 따르면 교육활동 침해 유형 중 상해·폭행은 2020년 113건에서 2021년 239건, 2022년 361건, 2023년 503건으로 증가하는 모습이다.
교실 내 폭력에 노출돼 있는 것은 교사뿐만이 아니다. 학생들 역시 일부 교사들의 '언어폭력'으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달 X(트위터)에는 한 여자고등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수업 중 "출산하지 않는 여자는 감옥에 가야 한다"는 발언을 지속적으로 했다는 학생들의 '폭로글'이 올라오며 해당 지역 교육청이 수사에 나섰다. 비슷한 시기 한 학생은 담임교사가 학생들과 함께 있는 카카오톡 채팅방에 여성을 '계집'이라 부르며 욕설을 했다는 글을 게재하기도 했다.
최근 이 같은 일부 교사들의 부적절한 수업 중 발언이 '스쿨미투' 형식으로 SNS상에서 공론화되며 비슷한 피해를 호소하는 학생들도 증가하고 있다.
수원 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B양(18)은 "논란이 되고 있는 사건들이 전혀 남의 일 같지 않다"며 "수업 중 교사를 폭행하는 학생도, 교사들의 차별적 발언도 그 강도만 다를 뿐 모두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교실 내 갈등이 심화하며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당국이 교사 보호장치와 학생 보호를 위한 신고 제도를 모두 운영하고 있지만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경기 지역 교사 C씨(38)는 "교실 내 교육 주체들이 서로의 의무와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며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학생의 교사 폭행, 교사들의 성차별 발언 등 극으로 치닫는 교실 내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고민이 시작돼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