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안산선 광명구간 공사 현장 붕괴 사고로 시민 안전 우려와 개통 지연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신안산선이 지나는 5개 지자체가 정부와 시행사에 신속·안전한 공사 추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명·안양·시흥·화성·안산시장은 15일 광명시청 중회의실에서 '신안산선 광역철도의 안전 시공을 위한 공동 건의문'에 서명하고 이를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시행사, 시공사에 전달하기로 했다.
공동 건의문에는 ▲주요 공정에 시민·전문가 참여 정례화 ▲지자체 현장 점검 및 사고조사위 참여 법적 근거 마련 ▲조속한 사고 복구 및 정부 특별지원 ▲지자체-시행사 간 실무협의회 정례화 ▲전 구간 정밀안전진단 실시 등을 담았다.
이들은 현행 '건설기술 진흥법'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지자체의 공사 현장 관리·감독 권한을 제한하고 있다는 점을 들며, 법령 개정을 통해 지자체가 사고 예방과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복구 작업 지연과 불투명한 정보공개가 지역 주민의 불안·불편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했다. 사고 발생 한 달이 지났으나 조사와 복구가 신속히 이뤄지지 않는다며 사업 정상화가 요원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신안산선 전체 공정률은 약 55%이며 당초 2025년 4월 개통에서 2026년 12월 개통으로 연장됐다가 이번 붕괴 사고로 추가 지연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부 주관 특별점검단 구성, 국가철도공단,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공정관리 인력 및 지원 확대, 최신 안전한 공법 도입, 시공기술 컨설팅, 관련 전문가 자문 확대 등을 제안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실무협의회 구성과 정례화 필요성도 제기했다. 사업 추진에 따른 현안과 민원을 공유하고 안전한 철도 건설을 도모하자는 취지다.
끝으로 사회적 불안 해소를 위한 신안산선 전 구간에 대한 국토부 주관 정밀안전진단 추진을 건의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사고는 시민의 생명과 일상에 직결된 중대한 사안으로, 더 이상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제도 개선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면서 "건의 사항이 적극 반영돼 신안산선이 안전하게 완공되고, 더 나아가 국가와 지방정부가 협력한 체계적인 안전관리 제도 구축의 토대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시흥시는 간담회를 계기로 타 도시와 긴밀히 협력해 신안산선이 안전하고 투명하게 건설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오늘 채택한 공동 건의문이 안전한 시공 문화를 만드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김원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