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국서 집값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경기도’…5년 새 40% 급등

하남시, 고양시 덕양구 등 상승률 40% 넘어

 

최근 5년 동안 경기도 아파트값이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광역 교통망 확충과 3기 신도시 개발 등의 영향으로 경기도 내에서도 지역 간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20일 부동산 데이터 분석업체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의 월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2020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경기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9.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상승률(27.3%)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뒤를 이어 충북(37.2%), 세종(37.0%), 서울(31.2%), 강원(30.5%) 등이 상위권을 기록했다. 반면 대구(1.3%)와 제주(1.9%)는 5년간 집값 상승률이 사실상 정체 수준에 머물렀다.

 

수도권과 지방 간의 격차도 심화되고 있다.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 상승률은 33.5%였으나, 지방은 17.1%에 그쳤다. 상승률 격차는 2배에 달한다.

 

경기도 내에서도 지역별 편차는 더욱 극심하다. 5년간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하남시로, 44.4% 급등했다. 고양시 덕양구(42.9%)와 남양주시(41.7%)도 40%를 넘는 상승률을 보이며 뒤를 이었다.

 

현재(2025년 3월 기준) 경기도에서 가장 비싼 지역은 과천시로, 평균 아파트 매매가가 17억 5991만 원에 달했다. 반면 가장 저렴한 포천시는 1억 5816만 원으로, 최고가 대비 11배 넘는 격차를 보였다. 그 외 성남시 분당구(13억 4794만 원), 하남시(9억 4137만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강남구(25억 2780만 원)였다. 이어 서초구(23억 7440만 원), 송파구(18억 9972만 원) 등 이른바 ‘강남 3구’가 여전히 전국 최고 수준의 가격대를 형성했다. 다만 서울 내에서도 강남(평균 13억 8224만 원)과 강북(9억 1306만 원) 간의 격차는 쉽게 좁혀지지 않고 있다.

 

광역시 가운데서는 울산(22.7%)과 부산(21.6%)이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대구는 1.3% 오르는 데 그쳐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부산 내에서도 해운대구(5억 6336만 원), 수영구(5억 8714만 원) 등 신흥 부촌 지역은 평균 이상의 가격을 유지한 반면, 영도구(1억 9258만 원), 중구(1억 6323만 원) 등 원도심은 여전히 저평가된 상태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GTX 노선 개발, 3기 신도시 추진, 서울 접근성 개선 등 다양한 개발 호재가 경기도 집값 상승을 견인했다”며 “서울 대비 가격 메리트가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GTX 예정지 인근 지역은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