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로 인한 생활비 부담이 국민들이 체감하는 가장 큰 경제적 고통으로 꼽혔다. 국민 10명 중 6명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물가 안정’을 선택했다.
20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민 과반 이상인 53.5%가 ‘고물가·생활비 부담 증가’를 현재 가장 심각한 민생경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어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6.8%) 등이 뒤를 이었다.
한경협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근 2% 초반대로 안정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장기 누적 기준으로는 여전히 고물가 상황”이라며 “국민 체감물가는 훨씬 높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를 개편 기준인 2020년(지수=100)과 비교하면, 2025년 4월 현재 물가 수준은 116.38로 4년 사이 16.4% 상승했다. 반면 그 전 4년(2016~2020년) 간 상승률은 4.4%에 불과했다.
민생회복을 위한 ‘가장 시급한 정책 과제’로도 60.9%가 ‘물가 안정’을 선택했다. 다음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3.8%)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물가 안정’ 응답률이 64.9%로 가장 높았고, 전 연령층 모두 절반 이상이 물가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물가 외에 20대 이하(23.0%)와 50대(19.3%)는 ‘일자리 창출’을, 30대는 ‘주거 안정(16.9%)’과 ‘일자리 창출(16.9%)’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이어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부담 경감(21.8%) ▲환율 안정·수입 물가 관리(17.2%) ▲세금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으로는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31.9%)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이외에도 ▲첨단산업·신성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20.0%) 등이 주요 대안으로 제시됐다.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 중에서는 ▲주택 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화가 36.3%로 가장 높았고 ▲전·월세 가격 안정 및 세입자 보호(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16.1%) 등의 응답도 많았다.
특히 주택 공급 확대에 대한 수요는 수도권 응답자(39.6%)가 비수도권(33.5%)보다 높았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교통·물류망 등 인프라 개선(31.4%) ▲지역 관광·전통시장 활성화(23.1%) 등이 주요 정책 과제로 꼽혔으며, 소상공인·중소기업 지원 방안으로는 ▲내수 활성화 및 판로 지원(27.1%) ▲세제 감면(25.8%) ▲금융지원 확대(25.4%) 등이 선택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민생 전반의 어려움이 누적되고 있다”며 “국민 체감도가 높은 식료품·생필품 가격 안정과 함께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