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6·27 대책에 서울 아파트 ‘불장’ 진정…최고가 거래 74% 급감

마포·성동·강동 직격탄, 매수심리 위축
서울 외곽·경기 일부 수요 쏠림 가능성도

 

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이 급격히 냉각되고 있다. 거래량은 물론 최고가 거래가 급감하며, 과열됐던 매수심리가 빠르게 식는 모습이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14일 공개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분석 자료에 따르면 대책 발표 전 2주간(6월 13일26일) 서울 아파트 거래 4693건 가운데 1141건(24.3%)이 최고가에 거래됐다. 반면 대책 발표 이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 거래량은 1312건, 이 가운데 최고가 거래는 300건에 그쳤다.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대비 74%가량 줄었고 최고가 거래량 비중 또한 22.9%로 1.4%p 감소했다. 


특히 집값 상승세가 거셌던 마포, 성동, 강동 등지에서 최고가 거래 감소폭이 컸다. 성동구는 139건에서 22건으로 84% 줄었고, 마포구는 137건에서 18건으로 무려 87% 감소했다. 강동구 역시 114건에서 23건으로 80% 감소하며 뚜렷한 냉각세를 보였다.


성동구 텐즈힐2단지와 옥수파크힐스, 마포구 래미안밤섬리베뉴II, 신촌숲아이파크 등 주요 단지에서도 최고가 거래가 사실상 끊겼다. 강남3구 역시 예외는 아니다. 강남구는 112건에서 41건,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각각 줄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강남3구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어 계약은 대책 발표 이후 체결됐더라도, 실질적인 계약 약정 시점은 그 이전일 수 있다”며 “따라서 강남권 거래량 감소를 시장 위축으로 단정 짓기엔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남 외 지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동작구는 최고가 거래가 85건에서 15건으로, 영등포구는 82건에서 18건으로 줄었다. 광진구(50→16건), 강서구(34→16건), 동대문구(30→4건) 등지에서도 거래 감소세가 뚜렷하다. 단기 차익을 노린 투자 수요뿐 아니라 실수요자들마저 매수 시기를 미루며 시장이 사실상 ‘정지’ 상태에 들어섰다는 분석이다.

 

김 랩장은 “초기에는 대출 가능 여부에 대한 혼란으로 시장이 얼어붙었지만, 현재는 매수 문의 자체가 줄어들고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매도자들이 호가를 낮추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강도 높은 규제에 따라 강남 등 규제 지역의 수요가 서울 외곽이나 경기 일부 비규제 지역으로 분산될 가능성도 있다”며 “자금 여력이 되는 실수요자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한 지역에 관심이 옮겨갈 수 있어, 해당 지역에 대한 시장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이번 거래 급감이 일시적인 조정 국면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입지나 개발 기대감이 높은 일부 지역은 규제 충격이 완화되면 다시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6·27 대책을 ‘맛보기 규제’로 해석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별도의 사전 예고 없이 시행된 이번 조치는 정책의 예측 가능성을 낮춰 수요자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했다는 지적이다.

 

김 랩장은 “향후 추가 규제가 뒤따를 가능성까지 고려할 때, 수요자들은 자금계획과 대출 가능성 등을 면밀히 따져보며 보다 신중하게 시장에 접근할 수밖에 없다”며 “정책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