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6일 오산시 고가도로에서 옹벽이 무너져 1명이 숨진 사고와 관련해 2023년부터 이미 사고 조짐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JTBC에 따르면, 2023년 6월 '서부우회도로 보강토옹벽 정밀점검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가 난 옹벽의 배수 시설에 누수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사고가 난 옹벽의 배수 시설에 대해 "상부 배수로는 본선구간으로 배수 구배가 작으며 공용 중 이물질 적체로 인해 평상시에도 체수가 발생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고가도로 위쪽 배수로의 기울기가 얕게 시공되고 이물질이 쌓였으며, 평소에도 물이 고여있었음을 의미한다.
또 "이로 인해 시공이음부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고 보강토옹벽 전면부를 통해 흘러내리며 표면열화가 발생되었다"고 기록됐다.
고가도로 옹벽은 흙을 쌓아 올린 뒤 콘크리트 블록으로 외부를 마감한 '보강토 옹벽'과 그 위에 올려 도로의 밑바탕과 방호벽 역할을 하는 'L형 옹벽'으로 구성돼 있는데, 이 두 옹벽의 이음새 부분에 이미 물이 새고 있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는 "동절기에는 전면부 시공이음부 주변으로 적체된 누수의 결빙으로 인해 재료 분리(동해) 및 콘크리트가 국부적으로 탈락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됨"이라는 내용도 나왔다.
이음새 부분에 새어나온 물이 겨울에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면서 두 옹벽의 콘크리트 소재를 부스러뜨렸다는 것이다.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 회장은 "물이 얼면 부피가 커진다. 그런 뒤 해빙기가 되어 녹아버리면 물이 새어 들어갔던 곳에 빈틈이 생긴다. 그러면 거기에 더 많은 물이 들어갈 수 있다. 그 물의 무게와 함께 붕괴가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고가도로는 2023년 9월에 전면 개통됐지만, 사고가 난 옹벽 부분은 2011년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고가도로의 나머지 부분 건설이 늦춰지며 10년도 넘게 방치됐고, 이 기간 동안 옹벽 이음새 부분이 지속적으로 누수 피해와 동해를 입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문제는 사고 한 달 전에 실시한 정밀안전진단 보고서에서도 나타난다. 지난 6월 보고서는 해당 옹벽에 대해 "방호벽에 발생한 조인트부 누수로 인하여 조인트 주변 콘크리트에 우수로 인한 열화, 재료 분리가 발생하였으므로, 실링재 보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음새 부분으로 물이 새면서 콘크리트가 떨어져나갔다고 기록했다.
두 정밀진단 보고서 모두 해당 옹벽의 안전 등급을 'B'로 판단했다. 주기적인 배수로 정비와 실링재 보수 등이 필요하다는 단서도 달았다.
실제 붕괴 사고 모습이 담긴 차량 블랙박스 영상에서는 상부의 콘크리트 방호벽(L형 옹벽)과 하부의 블록 옹벽(보강토 옹벽)의 이음새 부분이 터져나가는 모습도 드러났다.
한편 지난 22일 경찰은 옹벽 시공을 맡았던 현대건설과 도로 책임이 있는 오산시 등을 상대로 압수수색에 나섰다. 영장에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등이 적시됐으며, 향후 조사에 따라 중대재해처벌법 적용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경기신문 = 안규용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