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일선학교의 불법찬조금 모금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에 따르면 올해 신학기가 시작된 이후 참교육학부모회에 설치된 불법찬조금 신고센터에 접수된 사례는 전국 162개 학교로 이 가운데 경기도가 62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된 학교들은 대부분 학부모회가 학교발전기금 명목으로 학부모들로부터 개인당 2만원~30만원씩 거둬 수백만원에서 수억원에 이르는 찬조금을 조성한뒤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 비품과 학급행사비, 간식비, 교사와의 회식비로, 고등학교의 경우 야간 자율학습 감독과 간식비, 학교시설비로 사용됐다.
수원의 A초교는 모든 학부모들에게 가정통신문을 보내 3만원씩을 내도록 했고 참여율이 부진하자 "한 학급에 20명은 내야하지 않겠느냐"며 수차례에 걸쳐 가정통신문을 다시 보냈다.
분당의 B고는 미술과, 연극영화과 등 과단위 어머니회에서 130명에 해당하는 학생학부모에게 1인당 25만원씩 거뒀다.
성남의 C고는 대의원 205명으로부터 10만원씩 거둬 2천50만원을 모았고, D고는 반별로 10만원씩 거둬 교사에게 자율학습 수고비로 지급했다.
구리의 E초교는 학생들이 마시는 수돗물의 수질을 개선한다며 학생 1인당 3만원씩 거두고 외부에는 절대 알리지 말것을 종용했다.
이외에도 동두천의 F고는 학생 전원에게 100만원씩 거두려다 논란이 일자 모금이 중지됐고, 부천의 G초교도 학부모 임원 1인당 100만원씩 거두려다 문제가 되자 모금을 중단했다.
이처럼 일선학교의 불법찬조금 실태가 심각함에 따라 참교육학부모회는 해당 학교들에 대한 감사청구 요구서를 교육인적자원부에 제출하는 한편 경기도교육청에 특별감사를 요청하기로 했다.
참교육학부모회 박이선 경기지부장은 "불법 찬조금을 매개로 10여명 내외의 학부모 대표가 학교관리자들의 묵인과 지원하에 사용하는등 일부 학부모대표와 교장의 유착관계가 교육계의 부패고리를 형성하고 있다"며 "학교발전기금을 빙자한 불법찬조금을 근절하기위해 교육당국의 철저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박 지부장은 또 "불법찬조금 사례를 신고하려고 해도 자녀에게 혹 불이익이 갈까봐 신고를 하지 않는 학부모가 많은 것을 고려할때 일선 학교의 불법찬조금 문제는 훨씬 심각하다"며 "불법찬조금을 조성하는 온상이 되고 있는 학교발전기금제도를 하루라도 빨리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