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을 떠나 경기도로 향하는 인구 이동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경기 지역에서 새롭게 분양에 나서는 단지들이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특히 광명시, 파주시, 김포시 등 순유입 인구가 두드러진 지역을 중심으로 신규 물량이 쏟아질 전망이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1~7월) 서울을 떠나 경기도로 전입한 인구는 16만 663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인천으로 이동한 2만 8710명의 약 5.8배에 달하는 규모다. 서울에서 경기로의 순이동자 수는 2만 949명으로, 인천(7514명)의 약 2.8배에 달했다.
도시별로는 광명시가 6440명으로 가장 많았고, 파주시(2975명), 안양시(2364명), 양주시(1951명), 의정부시(1682명), 김포시(1315명), 남양주시(1267명), 고양시(1184명), 화성시(744명), 부천시(734명)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높은 주거비 부담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의 ㎡당 평균 분양가는 1374만 5000원으로, 경기(673만 6000원)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이에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들은 서울보다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고 더 넓은 주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경기권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특히 서울과 맞닿은 경기 지역은 출퇴근 생활권을 공유하면서도 쾌적한 주거 환경을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탈서울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서울은 여전히 주거비 부담이 큰 반면, 경기권은 교통 인프라 개선과 함께 서울 접근성을 유지하면서 합리적인 가격에 더 넓은 주거 공간을 제공한다”며 “자녀 교육이나 주거 안정성을 고려하는 3040세대가 경기권 신축 아파트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전출 인구가 몰리는 경기 지역에서는 연내 대규모 분양 단지가 줄줄이 나온다. 대우건설은 10월 김포시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 B3블록에서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를 선보인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같은 달 파주시 서패동에서 ‘운정 아이파크 시티’를 분양하며, 현대건설도 광명시 철산동 일원에서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을 분양할 예정이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