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도시공사가 추진 중인 ‘보직 없는 전문위원제도’가 논란 속에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기신문 23일자 12면)
제도의 취지는 퇴직 예정자의 경험과 전문성을 살리면서 동시에 보직 정체를 해소해 인사 선순환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내부에서는 승진 경로 차단, 권한과 책임의 불균형, 제도 불투명성 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부정적 시각만으로는 조직의 새로운 시도를 평가하기 어렵다. 공사 역시 그동안 인사 적체 문제와 보직 편중에 따른 불만을 안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전문위원제도가 제대로 설계된다면 분명 인사 순환 구조를 활성화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전문위원으로 전환된 인력이 보직 경쟁에서 한 발 물러나면서 후배 직원들에게는 승진과 보직 기회가 더 많게 열릴 수 있다.
이는 조직 전체의 활력과 사기 진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퇴직을 앞둔 직원의 풍부한 현장 경험을 자문과 정책 제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전문성 강화와 세대 간 지식 전승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효과도 기대된다.
물론 전제 조건이 있다. 공정하고 투명한 선발 기준 마련하고 전문위원의 권한·역할이 명확해야 한다.
또한 승진 및 보직 경로와의 형평성 보장은 물론 시범 운영을 통한 제도 보완 등이다. 무엇보다 내부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다.
도시공사의 전문위원제도는 혁신과 논란의 갈림길에 서 있다. 그러나 치밀한 제도 설계와 충분한 소통이 뒷받침된다면 이 제도가 인사 적체 해소와 인사 선순환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의심과 갈등을 넘어 ‘제도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안착시킬 것인가’에 직원들의 지혜로운 답변이다.
[ 경기신문 = 최순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