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내 건축물 10채 중 4채는 ‘30년 노후 건물’...지방 노후화 심각

지방 노후 건축물 비중 47%...주거용 건물 절반 이상 노후
국민 1인당 건축물 면적 84㎡ 돌파, 충북·제주 최상위

 

국내 건축물의 상당수가 이미 준공 30년을 넘어선 노후 건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의 노후화 속도가 수도권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국 건축물 가운데 44.4%가 준공 후 30년 이상 지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37.7%, 지방은 47.1%로 지방이 상대적으로 더 낡은 건축물이 많았다.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 건축물의 노후 비중이 53.8%로 가장 높았다. 상업용(34.4%), 교육·사회용(26.4%), 공업용(21.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주거용만 놓고 보면 수도권의 45.2%, 지방의 56.9%가 노후 건물에 해당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총 742만 1603동으로 전년보다 0.4% 늘었으며, 연면적은 43억 1498만㎡로 2.1% 증가했다.


주거용 건축물 가운데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단연 압도적이었다. 아파트 연면적은 12억 8786만㎡로 전체 주거용의 64.8%를 차지했다. 뒤이어 단독주택(16.8%), 다가구주택(8.7%), 다세대주택(6.7%), 연립주택(2.3%) 순이었다.

 

지역별로도 수도권(68.9%)과 지방(61.2%) 모두 아파트 비중이 가장 컸다. 전체 주택 유형 가운데 아파트 일변도 현상이 더욱 굳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말소된 건축물은 4만 2034동으로, 전년 대비 11.9% 줄었다. 소유형태로는 개인 소유가 77.1%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법인(8.0%), 국·공유(3.3%) 순으로 조사됐다.


국민 1인당 건축물 면적은 84.25㎡로 전년보다 1.88㎡ 늘었다. 수도권은 75.44㎡, 지방은 93.37㎡로 지방이 상대적으로 넓은 주거환경을 보였다. 주거용만 놓고 보면 충북이 1인당 43.98㎡로 가장 넓었고, 상업용은 제주가 30.22㎡로 최상위였다.

 

30층 이상 초고층 건축물 허가 면적은 전년보다 23.8% 증가했다. 수도권은 소폭(-0.4%) 줄었으나 지방은 39.9% 늘어 고층화 추세가 뚜렷했다.


전체 건축 허가 면적은 9.0% 감소했지만 착공(6.7%)과 준공(10.9%)은 늘었다. 특히 아파트는 허가 면적이 6.4% 줄었으나 착공과 준공은 각각 16.9%, 30.0% 증가해 공급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