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구윤철 “AI 대전환으로 저성장 돌파”…국제무대서 ‘한국형 성장모델’ 제시

국제통화금융위원회 참석…IMF·WB 수장 면담
저성장 등 위기 타개 방법으로 정부 전략 소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인공지능(AI)과 초혁신경제를 축으로 한 한국형 성장전략을 국제무대에서 제시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 이어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국제 신용평가사 Fitch 등과 잇따라 회동하며, ‘AI 대전환’을 저성장·고부채 시대의 해법으로 제시하는 경제외교 행보에 나섰다.

 

구 부총리는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IMF 이사국 대표 자격으로 참석해 “글로벌 저성장·고부채의 복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각국의 자구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결국 위기 극복의 해법은 내부에 있다”며 “한국은 AI를 통한 생산성 혁신으로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민간 중심의 모델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IMF가 발표한 ‘글로벌 정책 아젠다(GPA)’는 회원국별 맞춤형 정책자문과 금융지원 강화를 핵심 방향으로 제시했다.


구 부총리는 “IMF가 국가별 여건에 맞는 정교한 분석과 권고를 통해 정책 대응을 지원해야 한다”며 “AI 기반의 생산성 혁신은 고부채 시대에도 재정 여력을 확충하는 선순환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고 제안했다.

 

같은 날 구 부총리는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WB) 총재와 만나 ‘디지털 신탁기금(Digital Trust Fund)’ 행정협정 서명 완료를 공식화했다. 이 기금은 한국이 단독으로 출연하는 것으로, AI 협력의 제도화를 뜻한다.

 

구 부총리와 방가 총재는 “AI 기술이 개도국의 생산성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데 공감하고, 향후 AI 교육, 데이터 활용, 인프라 구축 등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구 부총리는 또 한국인 채용과 고위직 비중 확대에 대한 관심을 당부했다.

 

국제 신용평가사 Fitch와의 면담에서도 ‘AI와 재정의 조화’가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구 부총리는 제임스 롱스돈 Fitch 글로벌 총괄에게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는 단기 지출이 아닌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라며 “적극적 재정 투자가 성장률 제고와 중장기 재정건전성 확보에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Fitch는 “한국 정부의 전략이 국가경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준다”며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구 부총리는 또 IMF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와 만나 “전 국민 AI 교육, 데이터 축적, 반도체·SMR(소형모듈원자로)·그린수소 등 첨단기술 투자 병행을 통해 민관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새 정부의 경제·재정정책이 IMF 권고 방향과 부합한다”고 평가하며,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한 제16차 일반쿼타 검토(GRQ) 개혁안에 대한 한국의 지지에 감사를 표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AI 기반 생산성 혁신을 중심으로 한 한국형 성장전략이 국제사회에서 실질적 공감대를 넓히고 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협력과 정책 연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