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문화원은 안성기략 편찬 100주년을 기념해 ‘추수 김태영의 삶과 기록’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안성문화원 부설 안성학연구소 주관으로 경기안성뮤직플랫폼 공연장에서 지난 15일 열렸다.
추수 김태영은 1895년 경북 청도에서 태어나 1919년 안성에 정착한 후, 안성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헌신한 언론인, 교육자, 기업인, 사회운동가, 사학자로 평가된다. 특히 김태영 선생이 집필한 '안성기략', '안성문화금석관', '안성대관' 등은 근현대 안성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안성학 연구 사료로 꼽힌다.
학술대회에는 윤종군 국회의원, 안정열 안성시의회 의장, 박석규 안성문화원장, 임상철 안성학연구소 소장 등 내빈과 시민 60여 명이 참석했다. 학술대회 좌장은 임상철 소장이 맡았으며, 강지원 연구위원의 사회로 각 분야 전문가와 안성학연구소 연구위원이 발표자 및 토론자로 참여, 주제발표·종합토론·방청객 토론 순으로 4시간 동안 진행됐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허영란 울산대 역사문화학과 교수는 ‘추수 김태영의 생애와 안성의 역사’를 주제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전쟁, 산업화 초기 격변 속에서 안성지역 근대화를 실천한 김태영 선생의 삶을 조명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김해규 연구위원은 김 선생의 사상과 정체성, 주요 행적을 논의했다.
두 번째 발표는 ‘안성기략의 특징과 의미’를 주제로, 편역자인 안상정 행정학 박사가 장별 분석과 중요성을 발표했다. 토론자로 장연환 연구위원이 참여해 편찬 동기, 성격, 한계와 문제점, 현대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마지막 발표자인 봉원학 시사안성신문사 대표는 ‘안성대관과 당시의 안성’을 주제로 김태영 선생의 저술 속 시대상과 가치를 소개했다. 토론자로 홍원 연구위원이 참여해 안성기략·안성대관·안성문화금석관 저술 간 연결성과 특성에 대한 토론을 이어갔다.
박석규 문화원장은 “추수 김태영 선생의 삶과 기록은 안성학 연구의 방향과 기록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자료”라며 “이번 학술대회를 준비한 임상철 소장님을 비롯한 안성학연구소 연구위원과 참여자 모두에게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정성우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