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공교육 파행을 막기위해 장학자료 예산의 타용도 전용을 금지했으나 안양, 성남 등 6개 지역교육청이 이를 어기고 일제고사를 시행하려한 사실이 드러나 물의를 빚고 있다.
13일 경기도교육위원회 제155회 임시회에서 최창의 위원(제5선출권역)은 "일제고사는 획일적 평가에 종속된 형태로 공교육이 파행운영되고 우수한 성적을 내기위한 사교육비 증가 우려가 크기 때문에 도교육청이 금지하고 있다"며 "그러나 안양, 성남, 양평, 김포, 동두천, 연천 등 도내 6개 지역교육청이 올해 2차례에 걸쳐 초등학교 일제 학력평가를 실시하려 한다"고 밝혔다.
최 위원은 또 "이들 지역교육청이 장학자료 배포가 아닌 일제고사 시행을 계획했음에도 이를 지도.점검하지 않은 도교육청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최 위원에 따르면 이들 지역교육청들은 지난해 장학자료 배포 명목으로 안양 1천만원, 성남 1천만원, 양평 1천300만원, 김포 1천600만원, 동두천 890만원, 연천 1천만원 등 모두 7천만원의 예산안을 의회에 올려 삭감될뻔 하다가 일제고사 형태의 시험을 치르지 않겠다는 약속하에 예산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 교육청은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등 과목에 대해 각각 20~25개 문항을 정한뒤 올 상반기와 하반기 2차례에 걸쳐 일정한 날짜에 시험을 보는 일제고사 형태로 일선 학교에서 시험을 치르도록 했다.
최 위원은 "7천만원의 예산은 각 과목마다 200~300문항의 문제를 CD에 담아 각 학교별로 1개씩 보내 장학자료 형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 일제고사를 치르라는 예산이 아니다"며 "이를 지도.점검하지 않아 감독을 제대로 하지 못한 도교육청의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도교육청 초등교육과 관계자는 "해당 지역교육청들에 대해 일제고사를 지양하고 장학자료 형태로 다시 제공토록 하겠다"며 "앞으로 지도.점검을 제대로 하겠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