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포천시는 위탁운영에 따른 입찰공고만 되풀이할 뿐 현실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해 이미지 실추는 물론 막대한 경제적 손실로 총체적 딜레마에 빠졌다.
22일 포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군내면 하성북리 692 일대 4천여평(1만3천250㎡) 부지에 지하1층 지상3층, 연건평 730여평(2천431㎡)규모로 광역고속터미널을 완공, 강원도·경기도권 장거리 10개 노선과 영호남·충청권 노선을 대폭 확대키로 했다.
또 시는 앞서 같은해 7월 연간 2억1천100만원의 터미널 사용수익허가수수료를 3년간 계약하는 조건부 운수사업자를 선정키 위해 입찰을 공고했다.
그러나 최근 운수업체들이 극심한 적자난에 허덕이는데다 운영상 비현실적인 사용수익허가수수료의 악재가 이중으로 겹치면서 유찰됐다.
이는 결국 악순환으로 이어져 지난해 7월부터 최근까지 총 7차례의 입찰공고가 모두 유찰됐으며 사용수익허가수수료는 1억2천400만원으로 절반 가까이 감액됐는데도 운수업계의 반응은 여전히 냉랭하다.
이 때문에 시가 당초 계획한 경기북부 물류·관광 활성화 기능은 커녕 장거리 노선 개설 불발과 강원·경기도권 노선마저 반쪽 운행되며 시에 대한 이미지 손상은 물론 경제적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포천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전국 500여개 운수업체에 입찰서를 두번이나 보냈지만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했다”면서 “자가용 이용객이 급증한 반면 버스승객은 감소해 운수사업자들이 크게 위축된 때문”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운수업계 한 관계자는 “시가 제시한 조건들은 이 지역 유동인구와 운수업체들의 수익을 파악하지 않은 일방적인 결정”이라며 “수익성은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주변 환경에 누가 관심이나 갖겠느냐”며 불만을 토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