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시장이 28일 연수구 옥련동 응암교차로 교통 정체 예상지역 현장을 방문해 교통 소통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경인지방통계청> ◇과장급 전보 ▲사회조사과장 조경호 ▲서울사무소장 하봉채
▲최은승(케이티 스포츠 재무팀장)씨 부친상= 2월28일, 인천시 중국 인항로 인하대학교 병원 장례식장 4호실, 발인 2일 ☎(032)890-3180, 010-2776-5004 삼가 명복을 빕니다
코드 7 /김명서 내가 사육하고 있는 아이콘 코드 7 0 또는 1 같은 기계어밖에 몰랐다 사랑이란 단어에 접속하고부터 꽃의 몸짓으로 말하게 되었고 애벌레의 말도 구름의 말도 알아듣게 되었다 그때 균열을 예측했어야 했다 단잠을 내려놓고 거리를 헤매다 돌아온 듯 밤이슬 젖은 발자국 모니터 바깥으로 흘러내린다 내가 쓰다 남긴 아날로그 사랑이라도 복사해주고 싶은데 그의 조급증이 먼 계단을 오르고 있다 혹시 직계조상이 자기 연민에 빠져 자멸한 최초의 사이보그 아니었을까 - 김명서 시집 ‘야만의 사육제’중에서 ‘사랑해’라는 말이 먼저인가 사랑이라는 느낌이 먼저인가. 사랑한다는 고백을 한 순간 사랑이 시작되는 건 아니다. 사랑이라는 느낌은 고백 이전의 일이었고 꽃과 애벌레와 자연의 언어를 알아듣게 되는 신기한 마술이었다. 고백이란 형식을 갖추고 사랑받는 사람의 결정에 나를 온전히 맡길 수밖에 없었다. 사랑받는 사람이 승자이고 절대의 갑이었기 때문이다. 나와 너의 소통이 이뤄져야 비로소 사랑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우리는 아날로그 사랑을 잊은 모니터를 들여다보고 있다. 사랑을 사육할 수 있다. 최초의 사이보그, 복사해주고 싶은 사
일본의 한 평론가가 한국에 관하여 쓴 책으로 한국 경제성장의 한계를 주제로 쓴 책이 있다. 그는 한국 경제가 그간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왔지만, 얼마 가지 않아 한계에 부딪혀 성장이 멈추고 침체에 빠져들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는 그 이유를 2가지로 들었다. 첫째는 한국인들의 몸에 배인 양반정신이다. 둘째는 한국인들은 장인정신이 약하다는 점이다. 첫째로 지적한 양반정신은 왜 해로운가? 양반은 땀 흘려 일하지 아니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양반들은 양반근성이 몸에 배어 있다. 양반은 노동을 싫어한다. 우리에게는 몸에 밴 양반근성 때문에 어느 정도 살 만하면 노동을 기피하는 풍조가 있어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데 지장을 준다. 두번째 장인정신(匠人精神)이 빈약함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치명적인 약점이다. 무슨 일을 하든지 정성을 들여 치밀하고 끈기 있게 임해야 하는데 대충대충 일하는 버릇이 있다. 이런저런 대형사고가 자주 터지는 것도 장인정신의 결여에 원인이 있다. 장인정신의 특성은 무엇이든 자신이 맡은 일은 자신의 혼을 불살라 마음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여 치밀하고, 철저하고, 책임감 있게 해내는 데에 있다. 장인정신이 몸에 밴 사람들은 입신출세나 부귀
각급학교의 졸업식이 끝나고 이제 입학시즌이 다가왔다. 예전같으면 졸업과 입학은 누구에게나 마음이 설레였다. 각급학교의 과정을 마무리했다는 성취감과 새로운 학년을 맞이한다는 기대가 있기 때문이다. 대학 졸업생은 이제 사회인으로서 첫 발을 내딛는다는 것에 대한 희망이 있기도 했다. 그러나 요즘처럼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간다는 것은 젊은이들로서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핵가족 시대에 형제자매도 많지 않아 부모로부터 과잉보호를 받고 살아왔기에 더욱 그렇다. 공부를 곧잘하는 초등학생 아들이 받아쓰기 점수를 형편없이 받아왔다. 핀잔을 주는 엄마에게 그 아들은 “받아쓰기 공부하라는 얘기는 엄마가 안 했잖아. 과외도 안 시켰고….”라고 대답하더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진로와 대학의 선택, 그리고 취업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흘러가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다. 그렇지 않아도 젊은이들에게는 원치 않은 일들은 생기고, 좌절에 부딪치기도 한다. 지난주 막내의 대학졸업식에 갔다. 옛날처럼 학교 대운동장이나 대강당이 아니다. 단과대학별로 학장 주재 아래 자그마한 강당에서 조촐하게 치러졌다. 참석한 학생들이 반도 안 된다. 물론 취업이 안
주로 쉬거나 자려고 누워 있을 때 사지에 불쾌한 감각이 발생하고 이를 없애기 위해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이 있고, 사지를 움직이면 증상이 일시적으로 완화되며, 이 증상이 낮보다 밤에 심해지는 질환을 하지불안증후군이라고 한다. 환자들은 주로 하지, 간혹 상지에서도 불편한 감각을 호소하는데, ‘벌레가 스멀스멀 기어가는 느낌’, ‘다리가 근질거린다’, ‘전기가 오듯 따끔거리는 느낌’, ‘욱신거리고 저리는 느낌’ 등이 나타나면 이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 이상한 감각 때문에 다리를 움직이거나 주무르느라고 잠들기가 어렵거나 자꾸 깨게 되어 불면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불안증후군의 유병률은 외국연구에서 2.5~15%로 매우 다양하나, 한국인 5천명을 대상으로 하지불안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한 연구결과에서는 심각한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비율이 약 7.5%로 조사되어 매우 흔한 병임을 알 수 있다. 하지불안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특별한 이유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유전적 요소가 중요 원인이라 보여짐)이 많고, 내과적, 신경과적, 약물에 의해
새학기를 맞아 학부모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현실에서 중고교 학생들의 교복값 또한 만만치 않다. 웬만한 교복을 한 벌 구입하려면 수 십만원에서 심지어 100만원까지 줘야 한다. 여름철 교복 남방도 자주 세탁하려면 여러 벌 구입해야 하기에 동복이든, 하복이든 교복구입비용 부담이 크다. 학교별로 공동구매를 통해 비용을 줄여보려고 노력하지만 실제로는 개인구입보다 더 비싼 경우가 많다. 한 때 학교별로 자유롭게 교복물려주기운동이 확산되는가 하더니만 학생과 학부모들의 인식부족으로 지지부진해진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교복 알뜰장터가 인기를 얻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구리시는 지난달 18일 구리행정복지센터에서 관내 중·고등학교 교복을 판매하는 ‘구리시 알뜰교복 판매장터’를 성황리에 열었다. 구리혁신교육공동체가 주관이 되어 지난 2015년부터 매년 행사를 해오고 있다. 학부모지원단 및 학생 자원봉사자 등이 관내 14개 중·고등학교 졸업생에게 기증받은 교복을 깨끗이 세탁하여 판매했다. 쟈켓, 치마, 바지, 셔츠 등 3천여점은 품목에 따라 최저 1천원~7천원이다. 세탁비용이면 살 수 있었다. 이날 판매된 것만 2천300여점으로 판매수익금 640여 만원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 발생 대상물이 전소되기 전까지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답은 5분 이내이다.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소방차가 최소 5분 이내에 현장에 도착해야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신속성이 가장 중요한 화재상황에서는 단 몇 초가 사람의 목숨을 구하거나 잃게 할 수 있기 때문에 1초라도 더 빨리 도착해야 한다. 그렇다면 소방관에게 5분은 어떤 의미일까? 그것은 바로 한 생명을 살릴 수 있느냐를 판가름하는 아주 급박한 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통 일반화재를 화재 초기인 5분 안에 진화하지 못하면 연소확대 및 화재 최성기로 접어들어 화재 진화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인명구조를 위한 구조대원의 옥내진입이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구조 구급 역시 마찬가지다. 심정지 또는 호흡곤란 환자는 4~6분 이내 응급처치를 받지 못할 경우 뇌손상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5분 이내 현장 도착’은 소방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소방통로 확보를 위한 소방차 길 터주기는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니다. 도로에서 긴급차량을 만나면 편도 2차선에서는 1차선을 비우고, 편도 3차선에서는
Q:국민연금과 개인연금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국민연금은 국가가 운영하는 의무적 연금제도, 개인연금은 사적금융기관이 운영하는 선택적 연금상품이다.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은 매월 일정액을 납부하여 노후에 연금으로 받는다는 원리는 같지만 국민연금은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개인연금은 개인의 선택에 의해 가입한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다른 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국민연금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지급하는 반면 개인연금은 약정금액을 기준으로 지급한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즉, 국민연금은 과거에 납부하였던 보험료를 연금을 받는 시점의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연금액을 산정하기 때문에 그동안의 물가상승분이 반영됩니다. 반면, 개인연금은 물가가 상승되어도 실질가치가 보전되지 않아 받는 연금액은 증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납부한 금액 대비 실제 수령액을 보면 국민연금이 일반 개인연금보다 훨씬 많습니다. 두 번째, 국민연금은 사망 시까지 평생 받고, 사망한 후에는 생계를 함께한 배우자, 자녀 등 유족에게 유족연금이 지급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연금은 ‘일정기간 지급’과 ‘평생 지급’ 중 택할 수 있으며,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