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들어 있던 백남준의 대표작 '다다익선'이 깨어났다. 지난 2018년 모니터 노후화로 인해 가동이 중단된 지 4년 7개월 만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은 3년간의 보존·복원 사업을 완료하고 지난 15일 ‘다다익선’을 재가동했다. '다다익선'은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 등 국가적 행사와 맞물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건축 특성에 맞게 기획·제작된 상징적 작품이다. 총 1003대의 브라운관(CRT) 모니터를 높이 18m로 쌓아올려 백남준 작품 중 최대 규모이다. 지난 2003년 모니터를 전면 교체하는 등 약 30년 동안 수리를 반복해오다 2018년 2월 전면적인 보존·복원을 위해 가동이 중단됐다. 국립현대미술관은 국내·외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2019년 9월 '다다익선 보존·복원 3개년 계획'을 마련해, '작품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되 불가피한 경우 일부 대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보존·복원 사업을 진행했다. 1003대의 브라운관 모니터 중 손상된 737대를 수리·교체했고, 수리 불가한 266대는 LCD모니터로 대체됐다. 작품에 상영되는 8개의 영상작품을 디지털로 변환·복원했다. '다다익선'이 설치된 지 30년 이상 경과됨에 따라 관련 기자재의
‘메이드 인 세운상가’, ‘나쁘지 않은 날’ 등 한국 근현대사와 현 사회문제를 조명하는 광명시민회관 지역상주단체 극단 ‘명작옥수수밭’이 신작 ‘굿모닝 홍콩’으로 돌아왔다. 작품은 2003년 4월 1일 세상을 떠난 장국영을 추모하기 위해 홍콩에 모인 장사모(장국영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회원들이 홍콩 민주화 시위대를 만나, 홍콩인을 통해 한국의 민주주의 역사를 되짚어보는 경험을 그렸다. 2019년 4월 1일(‘홍콩 범죄인인도 법안’ 반대 시위(홍콩 민주화 운동)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던 시기). '아이 러브 홍콩'의 회원들은 장국영을 추모하기 위해 장사모 회원들과 함께 홍콩 여행길에 오른다. 홍콩에서 사업체를 운영하는 장사모 부회장 ‘레슬리 최’는 해마다 장국영의 기일이 되면 회원들을 불러 홍콩에서 장국영 추모식을 추진한다. 회원들은 장국영이 출연한 영화를 재현(오마주)하는 것으로 장국영을 추모하며, 그가 영화를 찍은 장소들을 순례한다. 추모 여행 중 레슬리 최의 처남이자 나이키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기찬’이 홍콩 시위대에 휩쓸리며 희귀품인 ‘87년 나이키 에어조던 2’ 운동화 한 짝을 잃어버리고 만다. 해당 신발은 하필이면 '장국영 한정판(에디션)'. 회
◇ 클래식 ‘가을, 그리고 세레나데’, 9월 23일, 수원SK아트리움 공연은 수원시립합창단 제182회 정기연주회로, 서정적 음악에 담긴 아름다운 노랫말로 가을의 정취를 전한다. 낭만시대 작곡가 요하네스 브람스의 ‘집시의 노래, Op. 103’으로 무대를 열고, 이어 구스타프 말러의 ‘나는 세상에서 잊혀지고’를 들려준다. 또한, 가을과 어울리는 한국가곡과 미국영가를 선보인다. 작곡가 조혜영의 ‘못잊어’, ‘금잔디’로 우리 민족의 한과 슬픔을 노래하고, 미국 작곡가 로버트 드 코미어, 모세스 호건의 '날고 싶어라', '다니엘을 구해내지 않으셨는가?'를 통해 노예 노동의 괴로움과 내세의 자유를 노래한다. 제임스 김 예술감독이 지휘자로 나서고, 바이올린 심보라미, 대금 이필기, 피리 김보미가 협연자로 무대에 오른다. ◇ 뮤지컬 ‘잠시, 후’, 9월 23~24일, 여주 세종국악당 ‘잠시, 후’는 ‘2019년 대한민국 스토리 공모대전 청년작가상’에 선정된 동명의 동화를 원작으로 한다. 미세먼지 때문에 바깥에 나가 놀지 못하게 된 어린이가 미세먼지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찾아 떠나는 내용을 담았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동화적 상상력이 인상적이라는 평을 받은 바 있다.
◆ 스마트 시티(smart city) → 지능형 도시 (원문) 시민 체감형 스마트 시티 조성에 서두른다. (고쳐 쓴 문장) 시민 체감형 지능형 도시 조성에 서두른다. (원문) 인천은 탄소 중립을 지향하는 스마트 시티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고쳐 쓴 문장) 인천은 탄소 중립을 지향하는 지능형 도시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원문) 시민 참여형 스마트 시티 구현을 위해 도시 문제 발굴단을 운영한다. (고쳐 쓴 문장) 시민 참여형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 도시 문제 발굴단을 운영한다. * ‘우리말 하루 한 단어’는 경기신문, 문화체육관광부, 국어문화원연합회가 함께합니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제31회 성정음악콩쿠르 대상의 영예는 누가 안을까? 오는 20일 수원SK아트리움에서 열리는 ‘위너 콘서트’에서 그 주인공이 가려진다. 성정문화재단은 지난달 8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 콩쿠르 예선과 본선을 통해 성악·바이올린·첼로·비올라·피아노·플루트·클라리넷 등 총 7개 부문에서 금상 47명, 은상 51명, 동상 54명의 수상자와 최우수상 6명을 선정했다. 그리고 각 부문 최우수상 수상자▲바이올린 박은중(한국예술종합학교 3년) ▲베이스 노민형(한양대학교 4년) ▲클라리넷 이극찬(한국예술종합학교 2년) ▲피아노 정진(국민대 대학원) ▲소프라노 김예진(한양대 대학원) ▲첼로 박상혁(한국예술종합학교 4년)이 대상의 자리를 놓고 위너 콘서트에서 경합을 펼친다. 대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00만 원, 성정음악상 500만 원, 수원음악상 300만 원, 연주상 300만 원, 부문별 최우수상 각 200만 원의 상금을 수여받는다. 또한, 올해부터 국내 콩쿠르 최초로 ‘청중상’이 신설됐다. 지난 1992년부터 시작된 성정음악콩쿠르는 젊은 음악도들의 세계무대를 향한 꿈을 지원하기 위해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1511명의 음악도들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펼쳤다. 대회장인 정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가 한국 초연 26주년을 기념해 오는 11월 예술의전당에서 다섯 번째 시즌의 막을 올린다. ‘브로드웨이 42번가’는 1930년대 뉴욕을 배경으로 뮤지컬 배우 지망생인 코러스 걸 ‘페기’와 연출가 ‘줄리안’, 한물간 프리마 돈나 ‘도로시’의 이야기를 그렸다. 1980년 뉴욕 윈터가든 극장 초연 후 브로드웨이에서 5000회 이상 장기공연을 이어 온 뮤지컬로,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정식 라이선스 뮤지컬로 무대에 올랐다. 이번 공연에서는 2016년 이 작품을 통해 뮤지컬에 데뷔한 송일국과 앞서 네 시즌 연속 캐스팅된 이종혁이 브로드웨이 최고 연출가 ‘줄리안 마쉬’ 역을 맡았다. 한때 최고의 뮤지컬 스타였지만 지금은 그 명성을 잃어버린 프리마 돈나 ‘도로시 브록’ 역은 배우 정영주, 배해선, 신영숙이 연기한다. 극 중 ‘프리티 레이디’의 주연을 맡을 일생일대의 기회를 잡게 된 ‘페기 소여’ 역에는 배우 오소연이 네 시즌 연속으로 참여한다. 또한, 지난 2018년 시즌에서 앙상블로 데뷔한 신예 유낙원이 발탁됐다. ‘브로드웨이 42번가’는 오는 11월 5일부터 내년 1월 15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공연한다. [ 경기신문 = 정경
◆ 슈퍼 사이클(super cycle) → 장기 호황 (원문) 국제 원자재 가격이 코로나 이전을 넘어 슈퍼 사이클에 진입했다고도 한다. (고쳐 쓴 문장) 국제 원자재 가격이 코로나 이전을 넘어 장기 호황에 진입했다고도 한다. (원문) 21년 들어 국내 수출 경기가 슈퍼 사이클 흐름을 타고 있다. (고쳐 쓴 문장) 21년 들어 국내 수출 경기가 장기 호황 흐름을 타고 있다. (원문) 최근 반도체 장비 수입이 2017~18년의 슈퍼 사이클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고쳐 쓴 문장) 최근 반도체 장비 수입이 2017~18년의 장기 호황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 ‘우리말 하루 한 단어’는 경기신문, 문화체육관광부, 국어문화원연합회가 함께합니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홈리스 장르 : 드라마, 가족 감독 : 임승현 출연 : 전봉석, 박정연 “집 없이 떠도는 것도 싫고, 곰팡내 나는 방은 더 싫어.” 집 없이 모텔과 찜질방을 전전하는 어린 부부 ‘한결’과 ‘고운’. 한결은 가정폭력으로 일찍이 가출했다. 그리고 고운을 만났고,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아이 ‘우림’도 생겼다. 한결의 배달 일로 생계를 이어가며 착실히 돈을 모아 겨우 가족의 보금자리를 마련했는데 알고 보니 보증금 사기였고, 그렇게 세 식구가 집도 없이 떠돌게 된 것이다. 그러던 중, 찜질방에서 일어난 사고로 우림이 다치게 되고 한결은 고운과 우림을 데리고 어떤 집으로 향한다. 영화 ‘홈리스’는 빈곤만은 벗어나고 싶었던 어린 부부가 갓난아이를 데리고 운수 좋게 어떤 집에 머물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그렸다. 지난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CGV아트하우스상을 수상했으며, 제50회 로테르담국제영화제에 한국 극영화로는 유일하게 초청돼 온·오프라인으로 소개됐다. 이렇듯 개봉 전부터 주목 받은 ‘홈리스’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 사회문제인 주거 빈곤과 노인 고독사를 흡인력 있게 다뤘다. 사기로 모아둔 돈을 날리고, 아이까지 다치면서 벼랑 끝에 내몰린 한결과 고운을 통해 현
◆ 그래서 우리는 달에 간다 / 곽재식 지음 / 동아시아 / 320쪽 / 1만 6000원 민간 기업이 수십, 수백 발의 로켓을 쏘아 올리고, 신흥 강국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우주개발에 뛰어드는 신시대. 그런데 사람들은 왜 어마어마한 돈을 들여가면서 달에 가려고 할까. ‘그래서 우리는 달에 간다’는 과학자, 지식인인 동시에 과학 소설 작가인 저자가 본인의 앎과 호기심, 상상력을 결합해 제시한 해답이다. 저자는 달과 한국 최초의 달 탐사선 다누리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모아 한 편의 책으로 엮어냈다. 저자는 사람이 달에 발자국을 남긴 것은 1969년 7월 20일로 고작해야 50년이 조금 넘은 일이지만, 달이 지구에 발자국을 남긴 역사는 유구하다고 말한다. 달은 우주 규모에서 지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체 중 지구와 가장 가까이 있는 물체이다. 그래서 달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사람들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였고, 인류의 삶 곳곳에 그 발자취를 남겼다는 것이다. 인류의 달 착륙을 이끈 역사적인 주역, 새턴5호 로켓의 사양은 높이 111m, 총 중량 2950t에 이른다. 이 거대한, 흰수염고래 300마리의 무게에 달하는 로켓이 무려 시속 9920㎞로 하늘을
◆ 모기가 우리한테 해 준 게 뭔데? / 프라우케 피셔, 힐케 오버한스베르크 지음 / 추미란 옮김 / 북트리거 / 292쪽 / 1만 8000원 책은 환경 선진국으로 불리는 독일의 여성 생물학자와 경제학자가 공동 집필한 생물 다양성 보고서이다. 생물이 더 이상 멸종되지 않게 지켜야 하는 것은 ‘생명의 평등함’이라는 근본적 이유 외에 경제적 필요 때문임을 증명해 보이며, 생물학과 경제학의 낯선 만남을 풀어냈다. 책은 모기를 비롯해 하찮은 존재로 여겨져 서서히 사라져 가고 있는 생물들이 다양한 영역에 걸쳐 인간의 삶을 지탱하고 있다고 말한다. 저자들에 따르면, 생물들은 우리에게 비옥한 땅을 마련해 주고, 홍수를 막아 주고, 물과 공기를 정화해 주고, 천연 약품과 휴양 환경을 제공해 주며, 무엇보다 우리를 먹여 살린다. 뚜렷한 경제적 근거 자료와 재치 있는 문장으로, 인간이 최대한 생물 멸종을 막고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며 그들과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책은 우리 인간종이 생태계 약 800만 종 가운데 한 종일 뿐임을 강조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우리가 전체 생태계에 군림하며 다른 종들을 멸종시키고 있는 현 상황은 한참 잘못됐다고 강조한다. 특히, 대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