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출전하고 있는 대한민국 선수단이 마지막 메달 사냥에 나선다. 20일 폐막하는 이번 올림픽에서 남은 종목 중 우리나라 선수단이 메달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은 빙상 스피드스케이팅이다. 우리나라 선수단은 18일 열리는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m와 19일 열리는 남자 매스스타트에서 메달을 기대하고 있다. 18일 오후 5시30분 중국 베이징 국립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에서 열리는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m에는 차민규(29·의정부시청)와 김민석(23·성남시청)이 출전한다. 차민규는 이번 대회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김민석은 남자 1,500m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들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도 메달을 따낸 한국 빙속의 간판선수들이다. 평창 대회 때 남자 500m에서 깜짝 은메달을 획득했던 차민규는 이번 대회에서 다시한번 은메달을 목에 걸며 세계 정상급 실력임을 입증했다. 또 평창에서 팀추월 은메달과 1,500m 동메달을 수확한 김민석도 이번 대회 1,500m 3위 입상으로 세계적인 선수임을 확인시켰다. 김민석과 차민규가 이번 시즌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월드컵에서 세운 기록은 메달권과 다소 거리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 에이스’ 최민정(성남시청)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에서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최민정은 16일 중국 베이징 캐피털 실내경기장에서 열린 빙상 쇼트트랙 여자 1,500m 결승에서 2분17초789로 아리아나 폰타나(이탈리아·2분17초862)와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2분17초865)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로써 최민정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여자 1,500m 우승에 이어 대회 2연패를 차지하게 됐다. 앞서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각각 은메달을 차지했던 최민정은 이번 대회에서 첫 금메달을 목에 걸게 됐다. 최민정과 함께 결승에 진출했던 이유빈(연세대)은 2분18초825를 기록하며 6위로 대회를 마무리 했다. 준준결승 1조에서 압도적인 스피드로 2분20초846을 기록하며 조 1위를 차지한 최민정은 준결승 3조에서도 2분16초831로 올림픽 신기록(종전 2분16초993)을 세우며 조 1위로 결승에 진출했다. 2016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2분14초354로 이 종목 세계기록을 보유한 최민정은 올림픽 기록에도 자신의 이름을 새겨 넣었다. 최민정은 7명이 출전한 결승전에서 초반 탐색전을 펼치
수원시체육회가 2022년도 예산을 251억여원으로 확정했다. 수원시체육회는 16일 오후 5시 수원시 장안구 시체육회관 대회의실에서 2022년도 정기이사회를 개최했다. 재적 이사 59명 중 박광국 시체육회장을 비롯한 이사 45명과 감사 1명 등 총 46명의 임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이사회에서는 수원시체육회 2022년도 예산(안)과 정관 개정(안), 사무국 규정 제정(안), 수원시 종목단체 등급 심의(안), 수원시서핑협회 인정단체 승인(안), 신임 임원 인준(안) 등 6개 안건을 심의했다. 이사들은 올해 시체육회 예산을 251억 4,000여만원으로 확정하고 정관 개정(안)과 사무국 규정 제정(안)을 원안대로 가결했다. 또 등급심의(안)은 코로나19로 인한 종목단체 사업추진의 제한 등을 고려해 검도 등 51개 정회원단체, 라켓볼 등 6개 준회원단체, 인정단체인 e-스포츠협회의 등급을 기존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사회는 이밖에 김기배 수원시 문화체육교육국장을 신임 이사로 선임했다. 박광국 회장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제한적인 환경이 이어지는 가운데도 임원 여러분들의 지원으로 수원시체육회 설립 후 최초로 올림픽 메달리스트를 배출하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
경기도체육회 제40차 이사회가 성원이 되지 않아 회의가 1시간 이상 지연되는 등 파행으로 진행됐다. 일각에서는 이날 이사회가 규정 위반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도체육회는 16일 오후 2시 화성시 푸르미르호텔에서 제40차 이사회를 개최할 예정이었다. 이날 회의는 이원성 도체육회장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대한민국선수단 지원단장으로 중국 출장중이어서 회의에 불참해 부회장 중 연장자인 신정희 부회장이 의장을 맡았다. 그러나 회의 시작 시간까지 참석한 이사가 17명에 불과해 이사회 성립을 위한 정족수 미달로 성원이 되지 않았고 회의는 지연됐다. 오후 2시10분쯤 일부 이사들이 참석해 참석이사 20명이 되자 도체육회는 성원보고도 없이 그대로 회의를 시작했고 이사들은 성원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차회의록을 비롯한 3건의 보고사항을 접수했다. 하지만 심의 안건 처리 때까지도 성원은 되지 않았고 결국 신정희 의장이 안건 통과를 위한 성원을 위해 오후 2시40분쯤 정회를 선언했다. 개회선언도 하지 않고 정회를 선언한 것이다. 1명의 정족수가 부족한 가운데 30여분 넘게 회의는 진행되지 않았고 3시17분에서야 이사 1명이 참석하며 가까스로 성원이 돼 회의가 재개됐다. 이사회는 성원이
경기도가 제19회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에서 종합 준우승을 차지했다. 도는 16일 강원도 일원에서 막을 내린 대회에서 금 12개, 은 22개, 동메달 16개 등 총 50개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점수 20,136점으로 서울시(23,591.62점, 금 22·은 14·동 4)에 이어 종합 2위에 올랐다. 인천시는 동메달 2개로 6,433.02점을 얻어 종합 8위에 랭크했다. 이로써 이번 대회에서 3회 연속 종합우승을 노렸던 도는 총 메달 수에서 서울시에 앞섰지만 금메달 수에서 10개가 적고 종합점수에서도 서울시에 3,455.62점이나 뒤지며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도는 이번 대회 7개 종목 중 3개 종목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2개 종목에서 준우승, 1개 종목에서 3위에 입상해 전 종목 입상이라는 목표도 이루지 못했다. 도는 알파인스키에서 금 5개, 은 6개, 동메달 7개로 4,925점을 획득, 서울시(4,324.80점, 금 6·은 4·동 2)와 강원도(2,558.80점, 금 1·은 1·동 3)를 제치고 우승했다. 또 ‘전통의 효자종목’ 빙상에서는 금 3개, 은 3개, 동메달 2개로 1,332점을 얻어 서울시(1,241점, 금 4·동 1)와 전남(484점, 은 2)을 꺾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빙상 피겨스케이팅에서 8년 만에 메달리스트가 배출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15일 중국 베이징 캐피털 실내경기장에서 열린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쇼트프로그램에 유영과 김예림(이상 군포 수리고)이 출전해 나란히 프리스케이팅 출전권을 따냈다. 유영은 70.34점으로 6위에 올랐고, 김예림은 67.78점으로 9위를 차지했다. 유영은 17일 열리는 프리스케이팅에서 선전할 경우 이번 대회 남자 싱글 차준환(고려대)이 기록한 '톱5'도 바라볼 수 있는 위치이고 김예림도 큰 실수만 하지 않는다면 톱10 진입이 무난할 전망이다. 유영은 쇼트프로그램 3위에 오른 사카모토 가오리(일본·79.84점)와 점수 차가 9.5점이어서 프리스케이팅에서 클린 연기를 펼친다면 메달권 진입의 희망도 품어볼 만 하다. 우리나라 피겨는 여자 싱글에서 '피겨 여왕' 김연아(은퇴)가 2010년 밴쿠버 금메달, 2014년 소치 은메달을 따냈고, 2018년 평창에서는 최다빈(은퇴)이 7위를 기록한 바 있다. 도핑 양성 반응으로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출전이 무산될 뻔 했다가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의 판결로 이번 대회에
프로축구 K리그2 안산 그리너스FC는 수비수 권영호와 골키퍼 이찬우를 영입했다고 16일 밝혔다. 2015년 광주FC를 통해 프로 무대에 데뷔한 권영호는 2016년 고양 자이크로FC, 2017년 J리그 후지에다 MYFC를 거치며 2018년부터 두 시즌을 대전 하나시티즌에서 활약했다. 190㎝의 큰 키를 이용한 제공권 장악력과 위치선정, 볼소유, 빌드업 능력이 뛰어나고 완급조절이 좋다는 평을 받고 있는 권영호는 K리그와 J리그 통산 70경기에 출전해 1득점을 기록했다. 경남FC에서 데뷔한 이찬우는 연령대 대표팀을 거쳤으며, 아시아 대학축구대회 대학선발팀에 발탁되며 주목을 받았다. 이찬우는 최후방에서 수비 리딩과 경기 템포 조절이 뛰어나고 수비라인을 적절히 조정하며 안정된 경기 운영이 강점이다. 권영호는 “올 시즌 안산 그리너스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도록 팀에 도움이 되는 선수가 되겠다”고 밝혔고 이찬우는 “2022년 끈끈하고 조직력있게 우리가 목표하는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제 위치에서 팀에 보탬이 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올 시즌 처음 K리그에 참가하는 김포FC가 전력보강을 위해 외국인 선수 2명을 영입했다. K리그2 김포FC는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 공격수 루카 유리치치와 독일 명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활약한 일본인 미드필더 마루오카 미츠루를 영입했다고 16일 밝혔다. 루카 유리치치는 190㎝의 장신 공격수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9세 이하 대표팀에서 활약한 경험이 있다. 또 지난해까지 2년간 자국 1부 리그 FK 젤레즈니차르 사라예보에서 뛰며 46경기 12골을 기록하기도 했다. 유리치치는 이미 K리그2 여러 구단에서 관심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고정운 감독과 김포FC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영입이 성사됐다. 마루오카는 신장은 작지만 패싱 능력과 간결한 볼터치가 장점인 선수로 일본 16세, 17세, 18세 이하 연령별 대표팀을 두루 거쳤다. 만 18세인 2014년에는 일본 명문 세레소 오사카에서 독일 명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로 이적해 활약했던 특급 유망주 출신으로 도르트문트에서 뛸 당시 위르겐 클롭 감독으로부터 ‘뛰어난 재목’이라고 평가받았다. 마루오카는 자국에서도 ‘제2의 카가와 신지’라는 수식어가 붙었을 정도로 높은 재능을 평가받았던 만큼 쿠니모토(전북 현대), 츠
1983년 출범 이후 올해로 40번째 시즌을 맞는 프로축구 K리그가 오는 19일 전북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전북 현대와 수원FC의 공식 개막전을 시작으로 7개월여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올 시즌 K리그는 2022 카타르 월드컵 일정으로 역대 가장 이른 시기에 개막하게 됐다. 올해 월드컵이 사상 처음으로 11월에 개막하기 때문에 K리그도 10월까지는 승강 플레이오프(PO)를 포함한 모든 일정을 마쳐야 하기 때문이다. 올 시즌 K리그는 김포FC가 K리그2에 합류하면서 1부 12개, 2부 11개 팀 등 총 23개 구단으로 확대됐다. K리그1은 종전처럼 12개 팀이 팀당 33경기를 치른 뒤 상위 6개 팀과 하위 6개 팀으로 나눈 파이널 라운드에서 5경기씩을 더 치러 최종 순위를 가린다. 또 김포FC가 가세한 K리그2는 11개 팀이 팀당 40경기를 소화한다. 이번 시즌부터는 승강팀 수가 ‘1+1’에서 ‘1+2’로 늘어나 시즌 막판 1부 잔류 및 승격을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할 전망이다. K리그1 12위 팀과 K리그2 1위 팀이 바로 다음 시즌 소속 리그를 맞바꾸는 것은 기존과 같지만 승강 PO를 치르는 팀은 기존 1개 팀에서 올 시즌부터 2개 팀이 된다. K리그
‘연아키즈’ 유영과 김예림(이상 군포 수리고)이 올림픽 데뷔 무대에서 안정적인 연기로 나란히 톱10에 들며 프리스케이팅 진출을 확정했다. 여자 피겨스케이팅 세계랭킹 3위 유영은 15일 중국 베이징 캐피털 실내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쇼트프로그램에서 기술점수(TES) 36.80점, 예술점수(PCS) 33.54점, 합계 70.34점으로 6위를 차지했다. 30명의 출전선수 중 27번째이자 5조 3번째로 출전한 유영은 미국드라마 ‘레프트오버’의 사운드트랙 ‘윌링 윈드’에 맞춰 자신의 쇼트프로그램을 연기했다. 첫 번째 점프 과제이자 ‘필살기’인 트리플 악셀에서 회선수가 조금 부족하긴 했지만 넘어지지 않고 잘버티며 산뜻하게 출발한 유영은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루프 콤비네이션 점프도 큰 문제 없이 처리했다. 유영은 이어 플라잉 카멜 스핀과 레이백 스핀을 우아하게 연기한 뒤 10% 가산점이 붙는 연기 후반부에 마지막 점프 과제인 트리플 플립을 큰 실수 없이 처리했다. 이후 유영은 스텝 시퀀스와 체인지풋 콤비네이션 스핀으로 첫 올림픽 무대를 마무리했다. 유영에 앞서 전체 19번째, 4조 첫번째로 은반위에 선 김예림은 기술점수(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