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몽의 후예’ 한국 양궁이 2024 파리 올림픽에서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두며 세계 최강임을 다시한번 확인했다. 한국 양궁 대표팀은 4일 오후 프랑스 파리에서 끝난 2024 파리 올림픽 양궁 종목에서 남녀 단체전과 혼성 단체전, 남녀 개인전까지 이 종목에 걸린 5개의 금메달을 싹쓸이했다. 앞서 남녀 단체전과 혼성 단체전, 여자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한국은 이날 열린 남자 개인전 결승에서 김우진(충북 청주시청)이 브레이디 엘리슨(미국)과 슛오프까지 가는 명승부 끝에 4.9㎜ 차이로 우승을 확정하며 마지막 5번째 금메달을 챙겼다. 올림픽에 3회 연속 출전 김우진은 임시현(한국체대)에 이어 대회 3관왕에 오르면서 올림픽 금메달 5개로 동·하계 올림픽을 통틀어 가장 많은 금메달을 따낸 한국인이 됐다. 김우진은 또 세계선수권대회, 아시안게임, 아시아선수권대회 개인전 금메달에 올림픽 개인전 금메달까지 추가하면서 ‘양궁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양궁에서 그랜드슬램을 이룬 한국인은 이전까지 박성현 전북도청 감독이 유일했다. 남자 개인전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이우석(코오롱엑스텐보이즈)이 독일의 플로리안 운루를 완파하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은 앞서 2016년 리우
2024 파리 올림픽 수영 경영종목에서 메달 획득에 실패한 한국 수영이 다이빙에서 메달 사냥에 도전한다. ‘한국 수영 다이빙의 간판’ 우하람(국민체육진흥공단)은 6일 오후 5시 프랑스 파리 아쿠아틱센터에서 열리는 2024 파리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예선에 이재경(인천시청)과 함께 출전한다. 우하람으로서는 세 번째 올림픽 도전이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대회를 통해 올림픽 무대에 데뷔한 우하람은 2020 도쿄 대회를 거치며 꾸준히 성적을 끌어 올려왔다. 우하람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대회 때 3m 스프링보드에서 예선 탈락했지만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 대회에서는 4위에 오르며 메달권 진입 가능성을 보였다. 우하람이 도쿄 대회에서 거둔 성적은 한국 다이빙 역사상 최고의 올림픽 성과였다. 우하람은 파리 올림픽에서 3m 스프링보드에만 출전한다. 다이빙은 중국이 올림픽은 물론 아시안게임에서도 강세를 보이는 종목이지만 우하람은 아시안게임에서 중국의 벽을 뚫고 은메달 4개, 동메달 6개 등 총 10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다이빙의 간판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제 올림픽 메달을 정조준한 우하람이 3년 전 도쿄에서 메달 획득을 놓친 아쉬움을 씻어내고
‘대학 씨름의 강호’ 경기대가 제78회 전국씨름선수권대회에서 4년 연속 정상에 올랐다. 홍성태 감독이 이끄는 경기대는 4일 충북 제친시 제천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3일째 대학부 단체전 결승에서 영남대를 종합전적 4-1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경기대는 지난 2021년 제75회 대회 우승 이후 4연패를 달성했다. 준결승전에서 단국대와 접전 끝에 4-2로 승리를 거두고 결승에 오른 경기대는 영남대외 첫번째 경기에서 경장급(75㎏급) 김태형이 김남엽을 상대로 연속 잡채기로 승리를 거두며 기선을 잡았다. 경기대는 두번째 경기에서 소장급(70㎏급) 최지호가 상대 우재혁을 맞아 호미걸이 되치기와 배지기로 내리 두 판을 따내 종합전적 2-0으로 앞서갔다. 경기대는 영남대가 선택권을 사용해 역사급(105㎏급)이 진행된 세번째 경기에서도 장건이 김민재를 상대로 안다리로 첫 판을 내준 뒤 들배지기와 밀어치기로 연속 두 판을 따내 2-1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우승에 한 발 더 다가갔다. 경기대는 네번째 경기에서 청장급(80㎏급) 강준수가 영남대 임재민에게 들배지기로 첫 판을 따낸 뒤 안다리와 밭다리로 내리 두 판을 내줘 1-2로 패하며 종합전적 3-1로 추격을 허용
‘한국 여자 양궁 에이스’ 임시현(한국체대)이 2024 파리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 첫 3관왕에 올랐다. 또 사격 여자 권총 양지인(한국체대)인 사격 선수단에 세번째 금메닭을 선사했다. 임시현은 4일 프랑스 파리 앵발리드 양궁경기장에서 열린 양궁 여자 개인전 결승에서 같은 팀 후배 남수현(전남 순천시청)을 세트 점수 7-3(29-29 29-26 30-27 29-30 28-26)으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임시현은 여자 단체전과 혼성 단체전 우승에 이어 대회 세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파리 올림픽 한국 선수단의 첫 3관왕이 된 임시현은 2020 도쿄 올림픽의 안산(광주은행)에 이어 올림픽 2회 연속 한국 양궁의 3관왕을 달성했다. 또 작년 항저우 아시안게임 3관왕에 이어 메이저 국제대회에서 연거푸 3관왕에 오르는 쾌거를 이뤘다. 4강에서 임시현에게 결승행 티켓을 내준 전훈영(인천시청)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해 4위에 머물렀다. 한국은 이날까지 금 9개, 은 7개, 동메달 5개로 종합 6위를 달리고 있다. 1회전에 아론드라 리베라(푸에르토리코)를 세트 점수 6-0(26-23 28-18 29-24)으로 가볍게 꺾은 임시현은 2회전에서도 레자 옥
2024 파리 올림픽에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단이 대회 개막 후 8일 만에 목표 200% 초과 달성을 눈 앞에 뒀다. 한국은 지난 달 27일 개막 후 8일째인 4일 오전 현재 금 9개, 은 7개, 동메달 5개 등 총 21개 메달로 중국(금 16·은 12·동 9)과 미국(금 14·은 24·동 23), 프랑스(금 12·은 14·동 15), 호주(금 12·은 8·동 7), 영국(금 10·은 10·동 13)에 이어 종합 6위를 달리고 있다. 이번 올림픽에 48년 만에 최소 인원(선수 144명)을 내보낸 한국은 금메달 5개, 종합순위 15위권을 목표로 삼았지만 대회 반환점을 돈 시점에서 이미 금메달 목표를 2배 가까이 초과 달성했다. 한국은 전통의 효자 종목 양궁에서 4개 종목을 석권했고, 신흥 효자 종목 사격과 펜싱에서 금메달 3개와 2개를 수확했다. 지난 해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3관왕에 올랐던 임시현(한국체대)은 여자 단체전과 혼성 단체전 우승이 이어 이날 개인전에서도 팀 후배 남수현(전남 순천시청)을 세트 점수 7-3(29-29 29-26 30-27 29-30 28-26)으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라 3관왕에 등극했다. 이번 파리 올림픽에서 한국 선수단 중 3관왕을
단체 구기종목으로는 유일하게 2024 파리 올림픽에 출전했던 한국 여자 핸드볼 대표팀이 조별리그의 벽을 넘지 못했다. 헨리크 시그넬(스웨덴)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4일 프랑스 파리의 사우스 파리 아레나에서 열린 핸드볼 여자부 조별리그 A조 5차전 덴마크와 경기에서 20-28로 패했다. 1승 4패가 된 한국은 독일, 슬로베니아와 동률을 이뤘으나 골 득실에서 밀려 조 5위에 머물며 각 조 4위까지 오르는 8강 진출에 실패했다. 한국은 이날 덴마크를 상대로 승점을 따내야 8강에 오를 수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전반에 던진 슈팅 18개 가운데 10개가 상대 골키퍼 잔드라 토프트에게 막히는 등 좀처럼 상대 골문을 열지 못하고 전반을 8-12로 뒤진 가운데 마쳤다. 후반 들어서도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세계선수권 3위에 오른 강호 덴마크의 수비벽에 고전하며 점수 차가 한때 10골 이상으로 벌어졌다. 한국은 우빛나(서울시청)가 5골, 강은혜와 강경민(이상 SK 슈가글라이더즈)이 4골씩 터뜨렸다. 한국은 이번 대회에 ‘제 2의 우생순(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을 꿈꾸며 8강 이상의 성적으로 목표로 삼았지만 아쉽게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한국 여자 핸드볼이 올림픽 조별리그
하계올림픽에서 대한민국에 첫 금메달을 안겼던 레슬링이 이번 파리 올림픽에서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릴까? 한국이 2024 파리 올림픽 개막 10일째일 5일부터 프랑스 파리 아레나 샹드마르스에서 열리는 레슬링에서 메달 사냥에 나선다 일제 강점기 이후 1948년 런던 대회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를 밟은 한국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수확했고 그 종목이 레슬링이었다. 1964년 도쿄 대회에서 장창선이 남자 자유형 플라이급에서 은메달을 획득, 올림픽 첫 메달을 수확한 한국 레슬링은 몬트리올 대회에서 남자 레슬링 페더급에 출전한 양정모가 한국의 올림픽 첫 금메달을 따내는 쾌거를 이뤘다. 이후 레슬링은 올림픽 효자 종목으로 분류되며 지금까지 금 11개, 은 11개, 동메달 14개 등 총 36개의 메달을 획득, 올림픽 종목 중 유도(금 11·은 19·동 21)와 양궁(금 31·은 10·동 7)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메달을 수확했다. 그러나 한국 레슬링은 2021년 열린 2020 도쿄 올림픽에서 49년 만에 노메달이라는 수모를 겪은 데 이어 지난 해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도 동메달 2개에 그치며 침체기에 빠져 있다. 전력상 한국 레슬링의
경기도가 제50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레슬링대회에서 3년 만에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도는 1일 강원도 양구군 양구문화체육회관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종합점수 794점을 획득, 서울특별시(737.5점)와 강원도(583.5점)의 추격을 뿌리치고 우승기를 품에 안았다. 이로써 경기도는 지난 2021년 제47회 대회 이후 3년 만에 정상을 탈환했다. 경기도는 이날 끝난 일반부 그레코로만형에서 136점을 얻어 경남(85.5점)과 대구광역시(77점)를 누르고 정상에 올랐고 일반부 자유형에서도 118점을 따내 경북(100.5점)과 충남(85.5점)의 추격을 뿌리치고 종목 1위에 올랐다. 경기도는 앞서 열린 중등부 그레코로만형에서 144.5점으로 서울시(119.5점)와 강원도(85점)를 제치고 종목 1위에 오른 뒤 고등부 그레코로만형에서도 141점을 얻어 전남(113.5점)과 충북(69점)을 꺾고 종목 정상을 밟았다. 이밖에 중등부 자유형에서는 125.5점으로 강원도(134.5점)에 이어 2위를 차지했고 여고부 자유형에서는 64점으로 서울시(180점)와 인천시(83.5점)에 이어 3위에 입상했다. 경기도는 이번 대회 중등부에서 김강현(평택 도곡중)이 자유형 80㎏급
한국 펜싱 남자 사브르 대표팀이 하룻 동안 끊겼던 대한민국 선수단의 금메달 행진을 다시 이었다. 오상욱, 박상원(대전광역시청), 구본길, 도경동(국군체육부대)로 구성된 한국 펜싱 남자 사브르 대표팀은 1일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 펜싱경기장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전 결승에서 헝가리를 45-41로 제압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은 2012년 런던, 2021년 열린 2020 도쿄 올림픽에 이어 올림픽 남자 사브르 단체전에서 3연패를 달성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대회는 종목 로테이션으로 열리지 않았다. 개인전에서 우승한 ‘에이스’ 오상욱은 단체전도 제패하며 한국 펜싱 사상 첫 올림픽 2관왕이자 이번 대회 한국 선수단의 첫 2관왕에 등극했다. 이로써 금 6개, 은 3개, 동메달 3개 등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한 한국은 은메달 수에서 영국(금 6·은 6·동 5)에 뒤져 6위로 한 계단 밀려났다. 중국이 금 9개, 은 7개, 동메달 3개로 선두를 달리고 있고 프랑스(금 8·은 10·동 8)와 일본(금 8·은 3·동 4), 호주(금 7·은 6·동 3)가 그 뒤를 잇고 있다. 8강전에서 캐나다를 45-33으로 가볍게 따돌린 한국은 4강에
프로축구 K리그2 안산 그리너스FC는 여름 이적시장을 통해 미드필더 김래우(20)를 영입했다고 1일 밝혔다. K리그1 전북 현대의 유스팀인 영생고 출신 김래우는 U-14, U-17 등 연령별 대표팀에 꾸준히 발탁됐고 U-17 대표팀에서는 17경기 2득점을 기록했다. 2023시즌 전북에 입단한 뒤 전북 B팀(K4)에서 꾸준한 경기력을 보여준 김래우는 수비형 미드필더와 센터백 포지션이 가능한 선수로 중앙 압박과 볼 키핑 능력이 우수하다. 안산은 수비력이 좋은 김래우의 영입으로 중원을 보강했고 22세 이하 자원도 확보했다. 김래우는 “17세 대표 시절 송경섭 감독 대행과 인연이 있었고, 축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며 “안산에 합류하게 돼 감사하게 생각하고 팀에 빨리 녹아들어 좋은 모습 보여드리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안산은 이번 여름 이적 시장 기간에서 수비수 김기환(24), 공격수 김우빈(21)에 이어 미드필더 김래우를 영입해 공격과 수비 모두 전력을 강화했다. 이로써 후반기 득점력 상승과 수비라인에 견고함이 더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