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이정재가 비영어권 작품과 한국인 최초로 ‘방송계 오스카'로 불리는 미국 에미상에서 남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아시아 국적 배우로도 최초 기록이다. 이정재는 한국시각으로 13일(현지시각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 극장에서 열린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 시상식’에서 넷플릭스 연속물 ‘오징어 게임’으로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이정재는 제레미 스트롱(석세션)을 비롯해 브라이언 콕스(석세션), 아담 스콧(세브란스: 단절), 제이슨 베이트먼(오자크), 밥 오든커크(베터 콜 사울) 등 막강한 후보들을 따돌리고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정재는 수상 소감에서 “대한민국에서 보고 계시는 국민 여러분과 친구, 가족, 소중한 팬들과기쁨을 나누겠다”고 밝혔다. 황동혁 감독은 비영어권 작품으로는 최초로 감독상을 받았다. 황 감독은 벤 스틸러(세브란스: 단절), 마크 미로드(석세션), 캐시 얀(석세션), 로렌 스카파리아(석세션), 캐린 쿠사마(옐로우재킷), 제이슨 베이트먼(오자크) 등 쟁쟁한 경쟁자를 제치고 수상했다. 황 감독은 “저 혼자가 아니라 우리가 함께 역사를 만들었다”며 “비영어 시리즈의 수상이 이번이 마지막이 아니기를 희망한다”고 영어로 소감을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 게임'의 배우 오영수·박해수·정호연이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 시상식'에서 상을 받지 못했다. 13일(한국시각) 오전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LA)의 마이크로소프트 극장에서 열린 에미상 본 시상식에서 이들의 수상이 불발됐다. 오영수·박해수는 한국 배우 최초이자 아시아 배우 최초로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는데, 해당 부문 트로피는 '석세션'의 매슈 맥퍼디언이 안았다. '석세션'은 글로벌 미디어 산업의 성공으로 부유하고 영향력 있지만 서로의 관계는 엉망진창인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다. 정호연이 후보에 오른 여우조연상 부문은 '오자크'의 줄리아 가너가 차지했다. [ 경기신문 = 유연석 기자 ]
넷플릭스 드라마 ‘수리남’이 공개 3일 만에 전 세계 순위 6위에 올랐다. 13일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순위 집계 누리집 플릭스 패트롤에 따르면, '수리남'(Narco-Saints)은 전날 기준 넷플릭스 티브이 프로그램 부문 세계 6위를 기록했다. 전날 집계된 순위(8위)보다 두 단계 상승했다. 전편이 공개된 지 3일 만이다. 한국·케냐·싱가폴 등 7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미국(5위)과 호주(6위) 등 전체적으로 전날보다 순위가 상승했다. ‘수리남'은 남미 국가 수리남을 장악한 마약 대부로 인해 누명을 쓴 한 민간인이 국정원으로부터 임무를 부여받으며 벌어지는 이야기로, 실제 수리남에서 마약밀매조직을 만든 한국인 마약왕 조봉행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공작', '범죄와의 전쟁: 나쁜 놈들 전성시대' 등을 연출한 윤종빈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하정우, 황정민, 박해수, 조우진, 유연석 등이 출연한다. 한편 플릭스 패트롤은 넷플릭스가 제공하는 상위 10위를 기준으로 국가별 영화와 드라마의 시청률을 집계하는 사설 누리집이다. [ 경기신문 = 유연석 기자 ]
“한쪽 발로 땅을 민다는 느낌으로 앞으로 팍팍 나아가는 거야. 한 발씩 한 발씩.” 나보다 잘 달리는 친구에게 느끼는 열등감, 엄마의 가게가 팔려 넘어갈 위기에 처한 집안 사정,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부풀렸던 말들. 이 모든 것들을 아무도 몰랐으면 하는 12살 육상부 소년들. 아이들은 누군가 자신의 진짜 모습을 알까 두려워하며 약간의 거짓말, 약간의 찌질함으로 세상을 살아간다. 어린이라 하기엔 훌쩍 자란 키와 마음, 청소년이라 하기엔 마냥 어려 보이는 나이, 12살.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계에 있는 10대 초반 소년들을 들여다보는 국립극단의 청소년극 ‘발가락 육상천재’가 수원을 찾는다. 한적한 바닷가 마을에 자리한 자갈초등학교 육상부엔 독보적인 1등 호준, 아슬아슬 2등 상우, 만년 꼴찌 은수가 있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모래가 날리는 운동장에서 열심히 훈련 중인 세 아이들 앞에 준수한 외모, 타고난 체격, 스포츠맨 정신까지 갖춘 전학생 정민이 등장한다. 정민은 오자마자 학교 신기록을 세우며 새로운 1등을 차지하고, 평온하던 육상부를 뒤흔든다. 언제나 1등을 차지했던 호준은 인어에게 발가락을 잡아먹혔다며 더 이상 달리려 하지 않는다. 호준의 발가락을 먹어버린
“디지털 성범죄, 아동 학대, 아동 돌봄 등 하루가 멀다 하고 여성, 가족 분야 현안들이 생기고 있습니다. 재단이 할 수 있는 일은 결국 이런 현안들에 대응하고,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연구와 사업으로 보답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2005년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으로 개원한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하 재단). 2008년부터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으로서 여성·가족 정책을 꾸준히 개발해 왔고, 2020년 12월에는 재단으로 발돋움했다. 이로써 경기도의 여성과 가족정책연구를 기반으로 한 정책 사업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관이 된 것이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2019년 취임한 정정옥 대표이사가 있었다. 어느덧 취임한 지 3년. 정정옥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취임과 동시에 재단이 ‘무엇을’ 하는 곳인지 그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점을 뒀다. “제가 취임했을 때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대체 뭐하는 데인가요?’라는 질문을 너무 많이 들었어요. 그래서 우리 기관이 어떤 곳인지 정체성과 해야 할 일을 정립하기 위해 끊임없이 서로 묻고 대화를 나눴습니다.” 정정옥 대표이사의 이같은 대화 노력은 그저 기관 내부에서 그치지 않았다. 그는 도내에 있는 ‘가
◆ 뉴 스페이스(new space) → 민간 우주 개발 (원문) 다누리 발사로 한국 뉴 스페이스 기업이 뜨고 있다. (고쳐 쓴 문장) 다누리 발사로 한국 민간 우주 개발 사업이 뜨고 있다. (원문) 올드 스페이스에서 벗어나 뉴 스페이스에 진입했다. (고쳐 쓴 문장) 국가 우주 개발에서 벗어나 민간 우주 개발에 진입했다. (원문) 뉴 스페이스 시대, 국내 우주 신생기업의 존재감도 커진다. (고쳐 쓴 문장) 민간 우주 개발 시대, 국내 우주 신생기업의 존재감도 커진다. * ‘우리말 하루 한 단어’는 경기신문, 문화체육관광부, 국어문화원연합회가 함께합니다. [ 경기신문 = 유연석 기자 ]
한국이 만든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비(非)영어권 드라마 최초로 ‘방송계 오스카'로 불리는 에미상에서 수상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오징어 게임’은 13일(현지시각 1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에서 최우수 드라마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남·여우조연상 등 6개 부문 7개 후보에 올랐다. 비영어권 드라마가 후보로 오른 것 자체가 처음이다. 여기에 수상까지 거머쥘 경우 각 부문이 비영어권 최초, 한국배우 최초라는 기록을 쓰게 된다. 황동혁 감독은 에미상 최다 부문(25개) 후보작이자 최대 경쟁작인 ‘석세션’과 3개 부문(최우수 드라마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을 놓고 경쟁을 벌인다. ‘석세션’은 이미 제72회 에미상 시상식에서 두 번째 시즌으로 4관왕을 차지한 바 있다. ‘오징어 게임’에 출연한 배우 이정재, 오영수, 박해수, 정호연은 각각 조·주연상 후보로 올랐다. 이정재는 남우주연상 후보, 오영수와 박해수는 남우조연상 후보, 정호연은 여우조연상 후보다. 그동안 에미상 주·조연상 부분에서 아이사 국적 수상자가 나온 적이 없어, 이들 중 한 명이라도 수상할 경우, 수상의 기쁨과 함께 ‘아시아
영화 '공조2: 인터내셔날'(이하 공조2)이 개봉 6일차 누적 관객수 300만 관객을 넘어서며 독보적 1위에 올랐다. 12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공조2'는 전날 관객 40만 774명을 동원하면서 누적관객수 300만 2456명을 기록했다. 올 여름 흥행작 ‘탑건: 매버릭’(관객수 809만 명)의 개봉 12일째 300만 돌파보다 2배 빠른 속도이며, 개봉 8일 만에 같은 기록을 쓴 '한산: 용의 출현'을 뛰어넘었다. ‘공조2’는 2017년 개봉작 ‘공조’의 속편으로 남한의 강진태 형사(유해진 분), 북한의 림철령 형사(현빈 분), 미국 FBI 요원 잭(다니엘 헤니 분)의 삼각 공조 수사를 담았다. 한편 올해 국내 개봉 영화 중 300만명 이상의 관객수를 기록한 작품은 '공조2' 포함 6편이다. '범죄도시2'(1269만명), '탑건:매버릭'(812만명), '한산:용의 출현'(722만명), '닥터 스트레인지:대혼돈의 멀티버스'(588만명), '헌트'(426만명) 등이다. [ 경기신문 = 유연석 기자 ]
LA 시의회가 미국 현지 시각으로 9일 한국 창작자들과 함께 매년 9월 17일을 ‘오징어 게임의 날’로 선포했다. 오징어 게임의 날은 넷플릭스 사상 최고의 흥행작인 '오징어 게임'이 한국 문화와 전통을 널리 알린 것과 함께, 한국 작품이 미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력을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LA 시의회가 한국 작품을 기리는 날을 제정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이번 행사는 '오징어 게임' 공개 1주년 및 제74회 에미상 시상식 개최 시기에 맞춰 LA 시청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황동혁 감독을 비롯해 이정재 배우, 제작사 사이렌 픽처스의 김지연 대표 등 '오징어 게임'의 주역들이 참여했으며, 에릭 가세티(Eric Garcetti) LA 시장, 존 리(John Lee) LA 시의원 등 주요 인사들도 함께 했다. 황동혁 감독은 “LA는 나에게 매우 특별한 도시다. 이곳에서 영화를 공부했고, 생활하며, 많은 것을 배우고 경험할 수 있었다. 그 시간과 경험이, '오징어 게임'을 비롯한 저의 작품 세계에 많은 영감을 줬다”며, “그런 LA에서 넷플릭스를 통해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에 소개된 매년 9월 17일을 ‘오징어 게임의 날’로 기념하게 됐다니 매우 뜻
피아니스트 다움이 재즈 공연 ‘포퓰러리티 & 오리지널리티(popularity & Originality)’로 화성을 찾아온다. 연주회는 프랑스 유학 후 2019년부터 국내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재즈 피아니스트 다움의 공연으로 대중성과 독창성이라는 주제로 서로 다른 두 무대를 선보인다. 공연은 화성시문화재단 후원으로 기획됐다. 반석아트홀(9월 18일)에서 펼쳐지는 ‘1 포퓰러리티(popularity)’에서는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비틀즈, 마이클 잭슨과 샹송, 브라질 음악 등 다양한 나라의 사랑받는 대중음악을 편곡해 연주한다. 다움 트리오와 쿼텟으로 오랫동안 호흡을 맞추고 있는 베이시스트 전제곤, 드러머 송준영과 함께 재즈 보컬리스트 이지민, 플루티스트이자 색소포니스트 김택준, 기타리스트 오진원이 출연한다. 다원이음터(10월 22일)에서의 두 번째 공연 ‘2 오리지널리티(originality)’는 ‘다움 쿼텟’만의 독창적인 음악을 느낄 수 있다. 지난해 발매한 ‘adaptation(순응)’앨범 수록곡들과 새롭게 작곡한 곡들을 연주한다. 색소포니스트 송하철이 함께 한다. 클래식 작곡을 전공하고, 파리에서 재즈와 함께 고음악과 하프시코드를 수학한 다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