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자 쇼트트랙 간판’ 최민정(24·성남시청)이 2022 MBN 여성스포츠대상을 수상했다. 최민정은 21일 서울시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MBN 여성스포츠대상 시상식에서 대상과 함께 상금 1천만원을 받았다. 최민정은 지난 2월 열린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에서 금메달, 여자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어 올림픽 직후에 열린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세계선수권대회에선 4관왕에 오르며 종합 우승을 달성하는 등 올 한 해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최민정은 “최고 권위의 상을 받아 매우 영광스럽다”며 “앞으로 많은 여성 스포츠인들이 큰 사랑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또 ‘한국 여자 축구의 간판’ 지소연(31·수원FC)은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지소연은 “2023년 호주·뉴질랜드 여자 월드컵에서 후회 없는 경기를 할 수 있도록 열심히 준비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밖에 우수상은 한국 펜싱 여자 선수 최초로 세계선수권 2관왕에 오른 에페 간판 송세라(29·부산시청)와 여자 골프 이소영(25)이 공동 수상했다. 페어 플레이상은 비유럽팀 사상 처음으로 세계선수권 정상에 오른 18세 이하
박노원(화성시청)과 김도연(부천 시온고)이 제38회 회장배 전국남녀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박노원은 20일 충남 아산시 이순신빙상장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날 남자일반부 1000m 결승에서 1분24초975로 같은 팀 소속 이가원(1분25초373)과 김건우(스포츠토토빙상단·1분25초550)를 따돌리고 1위에 올랐다. 또 여고부 3000m 결승에서는 김도연이 5분27초130을 기록하며 김소현(서울 신정고·5분27초230)과 윤도경(대구 정화여고·5분34초186)을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대부 3000m 결승에서 심준철(용인대)이 4분55초220으로 배서찬(경희사이버대·4분55초349)과 이성우(단국대·4분55초425)를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밖에 남여일반부 3000m 김정민(의정부시청·5분26초960)과 유현민(화성시청·5분55초952), 1000m 남고부 남현율(안양 평촌고·1분26초514), 남대부 정원식(경희대·1분26초700), 여일반 김지유(경기일반·1분33초626), 남고부 3000m 김민우(고양 화정고·4분51초501)는 각각 2위에 입상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경기체고가 제94회 동아수영대회 남녀고등부 계영 800m에서 동반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체고는 20일 경북 김천실내수영장에서 열린 대회 5일째 남자고등부 계영 800m 결승에서 박선우, 홍윤성, 조원준, 성우현이 팀을 이뤄 7분54초85의 기록으로 전북체고(8분00초71)와 인천체고(8분05초49)를 여유있게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홍윤성은 앞서 열린 남고부 평영 100m 결승에서 11분04초29로 김성준(인천체고·1분06초27)과 박승규(전북체고·1분06초40)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해 대회 2관왕에 등극했다. 경기체고는 여고부 계영 800m 결승에서도 신연주, 김재이, 홍예슬, 김가빈이 출전해 8분46초51로 인천체고(8분59초42)를 제치고 1위로 골인했다. 전날 여고부 자유형 1500m와 계영 400m에서 우승한 김가빈은 3관왕에 올랐고 신연주, 김재이, 홍예슬은 계영 400m 1위에 이어 나란히 두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밖에 남고부 자유형 100m 결승에서는 성우현이 53초05로 조재우(충북체고·52초82)에 이어 준우승했고, 남고부 자유형 400m 결승에서는 조원준이 4분05초91로 이준용(대전체고·4분04초87)에 이어 2위에 입상했다.…
프로축구 K리그2 부천FC1995가 2023시즌 더 나은 경기력을 팬들에게 선보이기 위해 담금질에 나선다. 부천은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총 3차례에 걸쳐 전지훈련을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8일 경남 창녕군에서 1차 훈련에 들어간 부천은 28일까지 10일 동안 선수단의 컨디션을 끌어올리기위한 개인 훈련과 단체훈련을 병행한다. 이어 내년 1월 9일부터 2월 2일까지 태국 치앙마이에서 2차 훈련을 진행한다. 태국에서는 고강도 체력훈련과 조직력 강화에 주안점을 두고 2023시즌을 위한 본격 담금질에 돌입한다. 부천의 태국 방문은 2020시즌에 이어 두 번째 방문이다. 태국 치앙마이는 따뜻한 날씨와 훈련에 적합한 그라운드 조건 등으로 선수단이 훈련에 집중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후 3차 전지훈련은 2월 6일부터 2월 18일까지 경남 거제시에서 진행되며 연습경기를 통해 조직력을 점검하면서 리그 개막을 앞두고 실전 감각을 끌어올리는 데 초점을 두고 훈련할 계획이다. 이영민 부천 감독은 “올 시즌을 잘 마무리했으니 다음 시즌은 한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며 “동계 전지훈련 기간 동안 많은 땀과 노력을 쏟아 더 나은 2023시즌을 준비하겠다”고 각오를…
“장애를 입은 뒤 접한 트라이애슬론이 인생을 더 열심히 사는 계기가 됐습니다.” 20일 김포시 연수문화센터에서 만난 김종관은 “장애를 당한 뒤 방황도 많이 했지만 트라이애슬론을 하면서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다”고 밝혔다. 김종관은 지난 10월 울산광역시 일원에서 열린 제42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트라이애슬론 남자부 개인전 PTS5(지체)에서 1시간18분20초로 이지익(서울시·1시간53분49초)과 김지용(세종시·1시간57분03초)을 여유있게 따돌리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6년부터 트라이애슬론을 시작한 김종관은 트라이애슬론이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된 2021년 전국장애인체전 우승에 이어 2년 연속 정상을 지켰다. 수영을 먼저 접한 그는 트라이애슬론 경기를 처음 본 날 트라이애슬론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고 전했다. 김종관은 “수영을 같이하던 동호인들이 2016년 통영에서 열리는 트라이애슬론대회에 출전한다고 해서 응원하러 갔다”면서 “경기하는 동안 많은 분들이 선수들을 응원해주고, 선수가 결승선을 통과할 때 가족, 지인들이 손을 잡고 수고했다고 말해주는 모습이 참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트라이애슬론은 수영(750m), 사이클(20㎞, 마라톤(5㎞)을 잇따라…
한국 축구가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에서 최종 16위에 자리했다. 지난 19일 아르헨티나의 우승으로 카타르 월드컵이 막을 내린 가운데, 국제축구연맹(FIFA)이 매긴 최종 순위에서 한국은 16강 진출 팀 중 가장 낮은 순위에 자리했다. 월드컵 최종 순위 중 1~4위는 결승전과 3, 4위 결정전에서 가려지고, 그 외 순위는 같은 단계에 오른 팀들끼리 승점, 골득실, 다득점 순으로 우열을 가린다. 우루과이와 조별리그 1차전에서 0-0 무, 가나와 2차전에서 2-3 패, 포르투갈과 3차전에서 2-1 승, 브라질과 16강전에서 1-4 패를 기록한 한국은 16강 진출 팀 중 가장 낮은 16위에 자리했다. 역시 16강에 오른 일본은 16강에서 탈락한 팀 중 가장 높은 9위에 자리했다. 일본은 조별리그에서 독일과 스페인을 잡고 코스타리카에는 져 2승 1패를 기록했다. 16강전에서는 크로아티아와 승부차기 끝에 졌는데, 승부차기 패는 무승부로 기록하기 때문에 일본은 최종 2승 1무 1패를 기록했다. 이는 이번 대회 16강 탈락한 팀 중 최고 성적이다. 한국, 일본과 함께 16강에 오른 아시아축구연맹(AFC) 소속 3팀 중 하나인 호주는 11위(2승 2패
2023시즌부터 프로야구 2연전이 폐지된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0일 2023시즌 정규리그 일정을 확정·발표하면서 2연전을 폐지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2015년 10개 구단 체제에서 시작돼 8시즌 동안 진행되며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연전은 9년 만에 사라지게 된다. KBO는 “기존 홈·원정경기 8경기씩 치르던 기존 일정을 홈 9경기-원정 7경기 혹은 홈 7경기-원정 9경기로 변경했다”며 “이에 10개 구단은 격년제로 홈 73경기-원정 71경기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내년 시즌엔 kt 위즈와 SSG 랜더스, 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 한화 이글스가 홈 73경기-원정 71경기를 치르고 키움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 NC 다이노스, 삼성 라이온즈는 홈 71경기-원정 73경기를 소화한다. 이듬해인 2024년에는 kt, SSG, 롯데, 두산, 한화가 홈 71경기를, 키움, LG, KIA, NC, 삼성이 홈 71경기를 치른다. 그동안 프로야구 각 구단은 이틀에 한 번꼴로 짐을 싸고 먼 거리를 이동하는 탓에 피로감이 쌓이고 부상 위험에 노출된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2연전의 폐지를 요구했다. 이에 KBO는 각 구단의 의견을 종합
프로축구 K리그1 수원 삼성이 2023시즌 팀 재건을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 수원은 최근 골키퍼 노동건, 엘비스 사리치, 사이토 마나부, 정호진, 박형진, 신원호 등 6명의 선수와 재계약하지 않고 작별을 고했다고 19일 밝혔다. 고려대 출신 노동건은 2014년 수원에 입단하며 프로 무대를 밟았고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총 2경기에 출전, 2실점을 기록한 노동건은 이번 시즌을 끝으로 수원과 작별했다. 노동건은 수원FC로 합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수원은 주전 골키퍼 양현모의 백업으로 박지민을 기용할 계획이다. 수원은 또 이번 시즌을 앞두고 팀에 복귀한 사리치와 이별하고 그 대체자로 FC안양에서 자유계약신분(FA)이 된 김경중과 맥스웰 아코스티를 영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수원 관계자는 “김경중과 아코스티의 영입 기사를 봤다”면서 “언론에서 좀 부풀려진 면이 있는 것 같다. 세부계약 단계까지는 아니고 현재 협상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관계자는 “마나부가 떠난 뒤 남는 아시아쿼터 자리에 어떤 선수를 영입할 지 다방면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수원은 오현
‘한국 고교 여자 컬링의 최강자’ 의정부 송현고가 2022~2023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 B디비전에서 값진 동메달을 획득했다. 송현고는 20일 밤 핀란드 로흐야 키사칼리오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여자부 동메달 결정전에서 튀르키예와 난타전 끝에 11-10, 1점 차로 신승을 거뒀다. 이로써 송현고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회 3위까지 주어지는 A디비전 출전권을 획득했다. 이혜인 코치의 지도아래 스킵(주장) 강보배, 서드 조주희, 세컨 김나연, 리드 이유선, 후보 천희서로 구성된 송현고는 주니어 대표로 출전한 이번 대회에서 준준결승까지 전승 행진을 이어갔다. B조 예선 1차전에서 체코에 6-3으로 승리를 거둔 송현고는 나이지리아를 18-1, 핀란드를 14-1, 네덜란드를 12-3, 카자흐스탄을 11-2로 각각 대파하고 5전 전승을 거두며 조 1위로 본선 8강에 합류했다. 8강에서 C조 2위 중국을 만나 6-4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둔 송현고는 4강에서 ‘강호’ 캐나다를 만나 접전을 펼쳤지만 1-1로 맞선 4엔드에 4실점하며 4-6으로 아쉽게 패해결승진출에 실패했다. 3~4위 동메달 결정전에 나선 송현고는 역시 4강에서 스코틀랜드에 2-7로 패한 튀르키예
김다겸(성남시청)과 김유림(용인대)이 제38회 회장배 전국남녀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다겸은 19일 충남 아산시 이순신체육관빙상장에서 열린 대회 사흘째 남자일반부 1500m 결승에서 2분16초967을 기록하며 김건우(스포츠토토빙상단·2분16초986)와 황대헌(강원도청·2분17초167)을 간발의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또한 김다겸은 남일반 500m 결승에 진출해 41초693을 기록, 황대헌(41초615)에 이어 은메달을 추가했고 서이라(경기일반·41초878)는 3위에 입상했다. 김유림(용인대)은 여대부 500m 결승전에서 47초488로 장연재(한국체대·47초631)와 같은 학교 소속 박재이(47초751)를 제치고 우승했다. 김유림은 또 이수연, 김승연, 박재이와 팀을 구성한 용인대가 여대부 3000m 계주 결승에서 4분42초630로 한국체대(4분34초861)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은메달을 추가했다. 남일반 3000m 계주 결승에서는 박성현, 박노원, 정예훈, 이도진으로 팀을 꾸린 화성시청이 4분15초072를 기록하며 스포츠토토빙상단(4분15초751)을 꺾고 정상에 섰고, 서수아(고양 화정고)는 여고부 500m 결승에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