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루의 개념이 수원화성에 도입된 것은 축성(築城) 막바지 단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축성 1차 공사 때 완성된 시설 중 이름이 없던 북문 등 중요건물은 을묘년 행차 직전인 1795년 2월 22일에 이름이 붙는다. 하지만, 이때 동북각루인 방화수류정은 이미 완성되었지만, 을묘년 행차 때 만든 성조도(城操圖, 훈련도)에는 용두정(龍頭亭)으로 표시되어 방화수류정이나 각루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후에 지어진 세 각루 중 첫 번째로 완성된 서북각루는 화서문 서쪽의 팔달산 중턱에 2층 건물로 세워졌다. 지형도 높고 더해서 2층 누각으로 여기서 바라보면 만석거(萬石渠)와 대유둔(大有屯)을 넘어 멀리 지지대 언덕까지 보였다. 정조가 여기서 황무지 위에 만들어진 옥토 대유둔을 보고 얼마나 가슴이 뜨겁고 자랑스러웠을지 상상이 된다. 서북각루 위치는 팔달산 북쪽 중턱으로 서성(西城)과 북성(北城)이 교차하는 모퉁이라는 지정학적 의미가 있지만, 실제는 직각이 아닌 사선으로 되어있다. 동쪽 화서문과 146보(약 170m), 서쪽 서일치(西一雉)와는 약 62m(기록은 70보(84m)) 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치성(雉城)간의 거리는 여장 50타(약 200m)를 기준
오래전 필자가 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하고 있을 때 유네스코학교를 운영한 적이 있다. 당시만 해도 학교현장에서 관심도가 낮아 도내 참여 학교 수가 겨우 4개교에 지나지 않았으나 현재는 경기도에 99개교, 전국에는 583개교가 참여하고 있어 격세지감(隔世之感)을 느낄 만큼 확산됐다. 유네스코학교는 학교 교육을 통한 국제협력 및 평화와 문화 증진이라는 유네스코의 기본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953년 11월에 탄생했다. 주 활동은 국제이해교육이라 할 수 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평화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환경교육 등을 확산시키는 활동으로서 이 같은 활동이 오늘날 세계시민교육의 기반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세계시민교육이란 세계 시민이 되기 위한 교육이다. UN에서 정의한 바에 의하면 세계시민이란 세계 평화와 인권, 문화의 다양성 등을 잘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혼자 살아 갈 수 없듯이 국가도 마찬가지이다. 인간과 같이 국가도 국가 간의 관계 속에서 성장 발전한다. 따라서 세계화가 더욱 더 가속화될수록 새로운 질서에 참여할 수 있는 청소년 대상 세계시민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글로칼리제이션(Glo
지금 50대 대부분은 1960년대 태생이다.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의 막내인 63년생이 올해 한국 나이로 56세다. 1960년대에 태어나 80년대 대학을 다닌, 과거의 ‘386’세대의 대다수도 이제는 50대가 됐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슬픈 자화상을 갖고 있다. “대학은 나왔으나 취직이 안 되는 자식들을 뒷바라지 하고 연로하신 부모님을 보살펴야 하는 마지막 효도세대이자 앞으로 효도 받기를 포기한 처음 세대” 라는게 그것이다. 이를 가리켜 ‘막처세대’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어디 그뿐인가 정년이 코앞에 닥쳐 회사에선 언제 쫓겨날지 모르고, 몸은 사용연도가 제법되어 날이 갈수록 약봉지가 늘어나 우울증에 시달리기도 한다. 그러니 자신의 노후준비는 생각도 못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50대 삶의 만족도를 조사 보고한 결과는 더욱 심란하다. 나타난 것을 보면 50대의 가장 큰 불안은 경제, 그 다음은 노후와 건강이다. 자산 규모가 1억원도 안 된다고 답한 사람이 27.7%, 1억~3억원이 27.5%, 3억~5억원이 21%다. 10명 중 7명이 집 한 채밖에 없다. 그중 1억 이상 빚을 진 사람이 17%나 된다. 월평균 소득은 대부분 200만~400만원이
엊그제 농축협 임업 등 조합장 선거가 전국에서 동시에 있었다. 알고 보면 그 어느 선거보다 중요한 것인데 대부분의 조합원들이 4년에 한 번 치르는 연례행사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는 생각들이라 늘 아쉬움은 남기 마련이다. 바삐 살다 보니 지역에 단체장이나 여느 자리에 연연하거나 마음을 두어본 적이 없는데 조합을 방만하고 조합원이 아닌 조직을 위한 운영을 한다면 다음번에는 조합장을 해보겠다고 나서는 것도 고려를 해봐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언제부터인가, 아니 처음부터 그랬는지 모르겠다. 축협이나 농협 조직이 농민을 위한 조직이 맞는데 그래야 하는데 실은 그렇지 않다. 정치하는 사람들 모두가 한결같이 국민을 주민을 위해서 잘하겠다 하고는 나중에 보면 허튼짓에 자기들 잇속 챙기기 바쁜 모습을 많이 보는데 농촌에서 농민을 가장 위하여야 하는 조직인 농축협도 마찬가지이다. 농민들이 농자금이나 기타 이유로 빌려 쓰는 돈의 관한 이야기뿐이 아니라 농축협의 사업이 입안될 때 정말 농민 입장에서 입안을 하고 시행을 하는가는 면밀히 검토를 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은 귀농했을 때부터 드는 생각이었다. 농축협의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조합원 교육을 안 시킨다는…
매년 4~5만 여명의 청소년이 학교를 그만두고 있으나, 학교중단 이후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경우가 많아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적극 발굴·연계 및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학생이 학교교육과정을 정상적으로 마무리하지 못하고, 자퇴나 퇴학, 제적을 당하거나 스스로 그만두는 경우 대부분의 교사는 “사회의 편견과 선입견이 심하니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없겠니?”, “너 혼자 감당할 수 있겠니?” 등의 충고섞인 말을 하곤 했다. 어린이와 청년의 중간 시기인 청소년은 법령이나 규범에 따라 다른데, 청소년기본법에는 9세에서 24세 사이의 사람이며, 청소년보호법에서는 19세 미만(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제외한다)을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지난 2018년 교육통계 연보와 교육청에 따르면, 서울시내 학교 밖 청소년은 학생 93만8천명 중 약 8만명으로 추산되며, 학교를 그만 둔 사유중 9.8%는 ‘부적응’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경기도내 학업 중단자 수는 1만5천576명이며, 이는 전국 학업 중단자(5만57명)의 31.1%를 차지하는 수치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
작은 행복 /권지영 목마른 여름 한낮 얼음 동동 띄운 커피 한잔 마주하는 것 함박눈 쏟아지는 창가에서 푹푹 먼지 쌓인 책을 들춰보는 것 잠들지 못하는 밤 홀로 불 밝혀 고독해질 수 있는 것 어두워진 저녁에 모두 둘러앉아 숟가락 소리를 내는 것 누군가 그리워질 때 마음껏 쓸쓸해지는 것 울컥 솟구칠 때 슬픔도 흘러가게 둘 수 있는 것 -시집 ‘누군가 두고 간 슬픔’ 행복이 별 거이랴, 싶다. 시인이라서 가능한 소소한 행복에의 장에 잠깐 초대받은 것 같다.속도의 시대, 금력의 시대, 욕망의 시대, 이렇게 살아도 될까, 하면서도 따라하고 싶은 일들이다. 한여름 목마름을 채워주는 냉커피와 눈 오는 창가에서의 독서, 불면과 마주해 자신을 들여다보는 고독, 도란도란한 가족과의 일상이 그러하다. 그러나 누군가 그리워질 때 마음껏 쓸쓸해지거나 솟구치는 슬픔을 그냥 흘러가게 내버려두는 아날로그적 감성을 소유하는 것은 쉽지 않다.이 디지털 시대에, 그리우면 전화나 카톡을 하면 그만이고, 슬픔은 재빨리 털어내 마구 쏟아지는 채널에게 팽개쳐두면 그만일 테니. 이런 감성의 그는 시인이 되어야 마땅하다. 작은 행복을 낚는 자가 큰 행복의 대어를 품에 안을 수 있는
국회가 지난 13일 본회의에서 미세먼지 대책 법안을 통과시켰다. 미세먼지를 ‘사회재난’에 포함하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은 사회재난의 정의에 미세먼지에 따른 피해를 명시적으로 규정했다. 경유·휘발유차보다 미세먼지 배출량이 적은 액화석유가스(LPG) 차량을 일반인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개정안’도 통과됐다. LPG 차량은 그동안 택시와 렌터카, 장애인 등에만 허용됐었다. 이번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법률상 재난으로 지정, 국가 예산을 투입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학교 교실에 미세먼지 측정기와 공기정화기 설치를 의무화하는 ‘학교보건법 개정안’과 함께 ‘실내 공기질 관리법 개정안’,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정’',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안’,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등도 의결됐다. 한 치의 양보도 없이 충돌을 거듭해 국민을 실망시키던 국회가 이 법안을 쉽게 통과시킨 것은 국민들의 미세먼지 공포가 극에 달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5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880만 명이 미세 먼지 등 대기오염으로 조기 사망한 것으로 추산됐다’는…
사교육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교육부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교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29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7.0% 많아졌다. 6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증가율은 2007년 조사 시작 이후 최고치이다. 사교육 참여율도 72.8%로 전년보다 1.7%포인트 상승했다. 이렇게 사교육비가 늘어난 것은 대학입시제도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방안 공론화 과정을 거치면서 대입제도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이 사교육비 증가에 한몫한 것으로 분석된다. 눈에 띄는 것은 소득 구간별로 최하위인 ‘200만원 미만’ 가계의 사교육 참여율이 47.3%로, 전년 대비 3.3%포인트 늘어나 증가 폭이 가장 컸다는 점이다. 저소득층은 지난해 사상 최악 수준의 저소득에 시달렸다. 그런데도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한 것은 여러 군데 일을 하면서 근로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아이를 학원에 맡기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고소득 가구와 저소득 가구의 사교육비 지출 차이가 5.1배나 된다는 것이다. 소득 구간별로 최상위인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50만5천원, 최하위인 ‘200만원 미만
뉴욕 전시때 가장 놀란 것 중 하나가 뉴욕에 4천명 회원을 가진 한국 미술품 애호가들의 모임인 코리안아트소사이어티(회장 로버트 털리)가 있었다. 이미 작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기다린 것처럼 마음 깊이 환영함이 느껴졌다. 4년간의 확장공사를 마치고 최근 4배나 커진 규모로 재개관한 브루클린 미술관 한국관을 50여명의 회원들이 브루클린 아시안 미술담당 조앤 커민스 박사 함께 한국 유물 특별전을 투어를 하고 메트로폴리탄미술관(The Mat)에서는 비공개된 한국 소장품 관람을 요청하여 회원들과 관람과 더불어 한국문화 토론을 했다. 이런 한국문화 사랑이 올해 개인전을 하는 프랑스 클레르몽페랑에서도 일어나길 기대한다. 프랑스 파리 트로카데로 따라 동쪽으로 걷다 보면 기메박물관을 발견 한다. 국립 기메 동양 박물관(Muse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Guimet)은 리옹 태생 사업가 에밀 기메(1836~1918년)가 이집트 종교와 고미술품 그리고 아시아 국가를 소재로 프랑스 파리에 1889년 설립한 박물관이다. 1945년부터 시작된 국가 소장품 재배치 계획의 일환으로 기메 박물관은 소장하고 있던 이집트 유물들을 루브르 박물관으로 넘겨주고,…
이번 호도 골프 규칙(Rule)에 대한 이야기다. - 뒤에선 캐디에게 볼 방향을 보게 한 경우 플레이어에게 어드바이스를 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원조하기 위해 플레이어가 스트로크하는 사이 그의 뒤에 서 있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린 위에서 퍼팅할 때도 마찬가지다. 반드시 캐디를 플레이선과 퍼트의 선의 볼 후방에 서게 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위반하면 2벌타가 된다. - 왜글로 볼이 티에서 떨어진 경우(※왜글 : 어드레스 동작을 하면서 샷을 하기 전 동작) 스탠스를 취하고 왜글을 했는데 클럽이 볼에 닿아 티에서 떨어진 경우에는 무벌타로 볼을 집어 다시 티업할 수 있다. 이는 티샷에서만 해당이 된다. 만약 티샷 이외에서 볼을 자신도 모르게 움직인 경우에는 벌타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 헛스윙을 한 후, 볼 위치를 높게 한 경우 티샷에서 헛스윙을 했지만, 볼은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 그래서 티를 빼면서 볼의 위치를 높게 했다. 이런 경우는 위반이며 헛스윙을 한 경우에도 볼은 이미 인플레이인 상태다. 인플레이 된 볼은 움직임에 따라 1벌타를 받고 리플레이스 해야 한다. 만약 리플레이스하지 않고 스트로크했을 때는 매치플레이에서는 홀의 패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