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육상이 2025 라인-루르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U대회) 남자 400m 계주에서 정상을 차지했다. 서민준(서천군청), 나마디 조엘진(예천군청), 이재성(광주광역시청), 김정윤(한국체대)으로 결성된 한국 육상 계주팀은 27일(한국시간) 독일 보훔 로르하이데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 남자 400m 결선에서 38초50을 기록하며 남아프리카공화국(38초80)을 따돌리고 우승했다. 한국 육상이 U대회 남자 400m 계주를 포함한 릴레이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낸 건, 32회를 맞은 이번 대회가 처음이다. 한국 육상은 남자 높이뛰기 우상혁(용인시청)의 등장으로 필드 종목에서 '세계 최정상급 선수'를 보유했지만 트랙 종목에서는 아시아 정상급 선수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남자 400m 계주 대표팀이 올 시즌 거둔 성과는 한국 육상에 희망을 안겼다는 평가다. 한국 육상 남자 400m 계주팀은 지난 5월에 3개의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5월 10일 중국 광저우 2025 세계릴레이선수권 예선에서 서민준, 나마디 조엘진, 이재성, 고승환이 38초56을 기록, 지난해 6월 전국종별육상경기선수권에서 이시몬, 김국영, 이용문, 고승환 순으로 달려 작성한 종전 한국 기록 38
경기도가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제46회 전국시도대항육상경기대회'에서 종합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도는 26일부터 28일까지 사흘 동안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진행된 대회서 육상 꿈나무들의 뛰어난 활약을 앞세워 종합점수 353.5점을 획득, 시상대 맨 위를 차지했다. 2위는 서울시(314점), 3위는 경북(231점)이 차지했다. 특히 중고등부 학생선수들이 도의 우승을 견인했다. 중등부 선수들은 138.5점을 도에게 선사했고, 고등부 선수들은 162점을 수확했다. 초등부에서는 53점을 얻었다. 도의 금빛 레이스는 대회 첫날부터 마지막 날까지 이어졌다. 도는 3200m 계주 남녀고등부와 여중부에서 패권을 안았다. 남고부 3200m 계주 결승에서 김홍유, 김민건, 권혁찬, 강선웅이 이어 달린 도는 8분05초46를 기록, 전남(8분07초14)과 강원(8분12초37)을 제치고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여고부 3200m 계주서는 정서연, 김채아, 김정아, 정예음으로 팀을 결성해 4분00초83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또 조윤서, 신유희, 신서희, 배지민으로 팀을 꾸려 출전한 여중부 3200m 계주에서는 9분30초47로 경쟁 시도를 멀찌감치 따돌리고 1위에 입
송성인(경기체고)이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제46회 전국시도대항육상경기대회' 남자고등부 5000m 경보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송성인은 27일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이틀째 남고부 5000m 경보 결승에서 23분24초68을 뛰며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2위는 차민재(부산체고·23분35초18), 3위는 김경균(경남체고·24분52초49)이 차지했다. 이민혁(경기모바일과학고)은 남고부 110m 허들에서 시상대 맨 위에 올랐다. 결승에서 14초57을 달린 이민혁은 박태언(광주체고·14초69), 하헌재(경북체고·15초22)를 따돌리고 금메달의 주인이 됐다. 남초부 멀리뛰기 결승에서는 정지훈(의정부 발곡초)이 5m14를 마크하며 같은 학교 강주빈(5m05)과 윤영준(서울 당현초·5m01)을 누르고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이밖에 남중부 장대높이뛰기 결승에서는 김지후(경기체중)가 3m60을 넘어 이은규(대전 송촌중·3m90)에 이어 준우승했다. 한편 김상록(파주 문산중)은 남중부 110m 허들 결승에서 15초12를 기록, 김민기(대구 월배중·14초58)와 최지승(익산어양중·14초59)에 뒤져 3위에 입상했다. 남고부 200m 결승에서는 김기준(시흥 은
권서린(광명 충현고)이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제46회 전국시도대항육상경기대회' 여자고등부 5000m 경보에서 금빛 질주를 펼쳤다. 권서린은 26일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서 진행된 대회 첫날 여고부 5000m 경보 결승에서 23분51초27로 경쟁자들을 가볍게 따돌리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2위는 이예서(충남체고·25분43초66), 3위는 오연지(서울체고·25분58초15)가 차지했다. 남고부 장대높이뛰기 결승에서는 박재연(경기체고)이 4m70을 넘어 같은 학교 이민찬(4m60)과 이재용(대구체고·4m00)을 꺾고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남중부 3000m 결승에서는 박창환(경기체중)이 9분27초75를 달려 이동건(과천 문원중·9분29초98), 배지성(전북 고창중·9분30초31)을 제치고 1위로 골인했다. 남고부 800m 결승에서는 김홍유(연천 전곡고)가 1분55초96을 뛰어 김현민(서울 양정고·1분57초77), 오종철(경남체고·1분58초59)을 앞서 정상에 올랐다. 또 김정아(가평고)는 여고부 800m 결승에서 2분15초89를 기록, 박리우(강원 속초여고·2분18초00)와 김채아(경기 광주중앙고·2분20초03)를 누르고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경기도는 고등
이민혁(안산 경기모바일과학고)이 '회장배 제23회 전국중고등학교육상경기선수권대회' 남자고등부 110m 허들에서 금빛 질주를 펼쳤다. 이민혁은 19일 강원 정성군 정선종합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2일째 남고부 110m 허들 결승에서 14초85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2위는 이세현(울산스포츠과학고·15초93), 3위는 최정웅(서울체고·15초95)이 차지했다. 이로써 이민혁은 제54회 춘계 전국중고등학교육상경기대회, 제54회 전국종별육상경기선수권대회, 제53회 KBS배 전국육상경기대회, 백제왕도 익산 2025 전국육상경기대회에 이어 시즌 5관왕이 됐다. 김홍유(연천 전곡고)는 남고부 800m 결승에서 1분56초19를 기록, 오준석(경기체고·1분57초54)과 안제민(양주 덕계고·1분57초60)을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여고부 800m 결승에서는 김정아(가평고)가 2분15초59로 박리우(속초여고·2분16초63)와 안령경(김천한일여고·2분17초71)을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남고부 장대높이뛰기 결승에서는 박재연(경기체고)이 4m60을 넘어 같은 학교 이민찬(4m40)을 꺾고 금메달의 주인이 됐다. 또 성승훈(경기체고)은 남고부 헤머던지기 결승에서 50m57
류나희(안산시청)가 '백제왕도 익산 2025 전국육상경기대회' 여자일반부 100m 허들에서 개인 최고기록을 경신하며 정상에 올랐다. 류나희는 10일 전북 익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여일부 100m 허들 결승에서 13초52를 달려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2위는 정연진(울산시청·13초56), 3위는 조수진(용인시청·14초22)이 차지했다. 이로써 류나희는 2023년 '제104회 전국체육대회'서 세운 개인 최고기록(종전 13초57)을 약 2년 만에 새로 썼다. 이영숙 안산시청 감독은 "류나희 선수가 아킬레스건 부상도 있어서 컨디션이 100%는 아니였는데, 철저한 자기관리와 성실하게 훈련에 임했기 때문에 개인 최고기록을 세울 수 있었다"며 "김태빈 코치도 류나희 선수의 기록 단축에 많은 도움을 줬다. 항상 고맙게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이밖에 오준석과 공지민(이상 경기체고)은 남녀 고등부 1500m에서 나란히 금빛 질주를 펼쳤다. 오준석은 남고부 1500m 결승에서 3분58초68을 달리며 대회신기록을 경신하고 1위에 올랐다. 2위는 임성민(경북 순심고·4분03초01), 3위는 정우진(대구체고·4분05초12)이 차지했다. 공지민은 여고부 1500m
박재연(경기체고)이 '백제왕도 익산 2025 전국육상경기대회' 남자고등부 장대높이뛰기에서 대회신기록을 경신하며 정상에 올랐다. 박재연은 9일 전북 익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대회 나흘째 남고부 장대높이뛰기 결승에서 4m70의 대회신기록으로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2위는 이수호(4m40), 3위는 이명지(3m80·이상 대전체고)가 차지했다. 정은아(남양주시청)는 여일부 세단뛰기 결승에서 12m44로 박민희(강원도체육회·12m42)와 윤선유(안동시청·12m17)를 누르고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섰다. 이밖에 남중부 110m 허들 결승에서는 홍준혁(부천 부곡중)이 15초47로 최지승(익산 어양중·14초71)에 뒤져 준우승에 만족했다. 화성시청은 1600m 혼성계주에서 준우승했다. 김민지, 박찬양, 이수홍, 장세빈이 이어 달린 화성시청은 3분33초96으로 구미시청(3분33초16)보다 늦었다. 3분34초41을 기록한 남양주시청은 3위를 차지했다. 한편 남고부 400m 결승에서는 김도혁(경기체고)이 49초61을 기록, 김윤후(서울체고·48초35)와 김태성(동인천고·49초58) 다음으로 결승선을 통과해 3위에 입상했다. 장윤희(부천여중)는 여중부 3000m 결승에서 11분0
김지후와 김하빛(이상 경기체중)이 '백제왕도 익산 2025 전국육상경기대회' 남녀중등부 장대높이뛰기에서 나란히 정상을 밟았다. 김지후는 8일 전북 익산종합운동장에서 진행된 대회 사흘째 남자중등부 장대높이뛰기 결승에서 3m60을 넘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위는 이은규(대전 송촌중·3m40), 3위는 이태관(부산체중·3m00)이 차지했다. 김지후는 3m20, 3m40을 각각 2차, 3차 시기에 넘었다. 이후 3m60을 2차 시기서 성공해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은규는 3m00, 3m20, 3m40을 모두 1차 시기에서 성공했지만, 3m60에서는 1~3차 시기 모두 실패했다. 또 여중부 장대높이뛰기 결승에서는 김하빛이 2m40의 대회신기록으로 정상을 차지했다. 함께 출전한 류이안, 이세연(이상 경기체중)은 2m20을 1~3차 시기에서 모두 실패해 입상하지 못했다. 조진생 경기체중 육상 감독은 "김지후, 김하빛 학생은 평소 성실하게 훈련에 임하는 모범적인 선수"라면서 "내년에 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되는데,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선수들이다. 이번 대회서 열심히 노력한 결과를 얻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두 학생의 성장을 위해 애써주시는
가평군청이 '백제왕도 익산 2025 전국육상경기대회' 여자일반부 400m 계주에서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올랐다. 가평군청은 7일 전북 익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대회 2일째 여일부 400m 계주 결승에서 전하영, 한예솔, 진수인, 김소은이 이어 달려 46초19를 기록하며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2위는시흥시청(46초49), 3위는 청양군청(46초95)이 차지했다. 여고부 창던지기 에서는 김다솔(경기체고)이 38m14를 기록, 이혜린(36m16)과 최예서(35m73·이상 전북체고)를 가볍게 따돌리고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이밖에 여고부 200m 결승에서는 이아정(경기체고)이 25초34로 유영은(인천 인일여고·25초22) 다음으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아정은 100m까지 1위를 유지했으나 이후 유영은에게 추월당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중부 3200m 계주 결승에서는 배지민, 이소진, 정소영, 정채연으로 팀을 이룬 광명 철산중이 10분21초06으로 광주체중(10분18초00)에 이어 준우승했다. 부천여중은 10분39초18을 기록하며 3위에 만족했다. 한편 안양시청은 남일부 400m 계주 결승에서 장민호, 문해진, 노다원, 김길훈으로 팀을 결성해 39초89를 기록
경기체고가 '백제왕도 익산 2025 전국육상경기대회'에서 우승자 4명을 배출하며 대회신기록 4개를 새로 썼다. 경기체고는 6일 전북 익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대회 첫날 남고부 100m, 800m, 10㎞ 경보, 여고부 100m에서 우승자를 배출했다. 특히 남고부 100m에서는 이민준(경기체고)이 뛰어난 성적으로 패권을 차지했다. 이민준은 결승에서 10초41을 달려 김동진(대구체고·10초46)과 최성원(동인천고·10초70)을 따돌리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날 이민준이 세운 기록은 남고부 100m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1위는 2024년 나마디 조엘진(예천군청)이 김포과학기술고 재학 시절 세운 10초30이다. 남고부 800m 결승에서는 오준석(경기체고)이 1분57초08의 대회신기록으로 경쟁자들을 제압하고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또 남고부 10㎞ 경보 결승에서는 송성인(경기체고)이 46분13초를 달리며 대회신기록을 작성하고 정상을 밟았다. 2위는 이은빈(광명 충현고·51분34초), 3위는 조대희(경기체고·51분46초)가 차지했다. 이아정(경기체고)은 여고부 100m에서 12초26의 대회신기록으로 유영은(인일여고·12초27), 정다연(포항 이동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