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경제자유구역개발 등 지역의 대규모 택지 개발로 학교 156곳을 건립해야 하지만 3조9천억원에 이르는 재원이 없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3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내년부터 오는 2020년까지 송도 등 경제자유구역 3곳 및 가정지구와 검단신도시 등 택지지구, 소래·논현지역과 가정오거리 등 도시개발지역, 214개 재개발 또는 주거환경지구 등의 사업이 진행된다.
이들 지역에는 총 28만9천여가구가 들어서게 돼 초등학교 79곳과 중학교 41곳, 고교 36곳 등 총 156개 학교를 세워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학교 1곳을 짓는데는 부지 구입비를 포함해 200억∼250억원이 소요돼 총사업비는 3조1천200억원에서 최대 3조9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13년간 매년 3천억원 가량의 막대한 재원을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더욱이 예상 건립 학교수가 현재 매립공사가 진행중인 송도국제도시 5.7공구와 9∼11공구 등의 개발지역은 제외됐고 건립비 역시 물가인상률은 고려하지 않은 것이어서 실제 건립비는 훨씬 늘어날 게 뻔하다.
여기에 이들 학교 운영비(인천지역 연간 평균 경비 9억9천500만원)까지 포함하면 전체 지출 비용은 10조원대에 이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대규모 택지지구의 경우 사업시행자측에 학교를 건립해 줄 것을 요구하는 한편 교육인적자원부에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현 교육 재정으론 대규모 택지지구내 학교건립은 불가능하다”면서 “사업시행자가 학교를 건립, 기증하지 않을 경우 아파트 분양시 단지내 학교가 없다는 점을 명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