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인천시 남동구가 소래포구축제에 헌신적으로 참여한 지역상인들을 배제키로 한 가운데(본지 6월 27일자 12면 보도) 그동안 법적 근거도 없이 지역상인들에게 예산을 부담시켜 왔던 것으로 밝혀져 말썽을 빚고 있다.
30일 지역상인들에 따르면 구는 지난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소래포구축제를 개최하면서 지역상인들로부터 해마다 4천만원의 돈을 받았다.
구는 2001년 소래포구 상인·선주연합회 등 5개 단체로부터 500만원부터 950만원까지 총 4천만원을 받았으며,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4개 단체로부터 각각 1천만원씩 역시 4천만원을 받았다.
구는 지역상인들로부터 받은 돈과 구의 예산을 축제진행을 위해 설치된 추진위원회에 입금시켰다가 다시 주관 기획사로 전하는 순으로 예산을 집행했다.
주민들에게 예산을 부담시키는 구의 이같은 예산집행은 선례도 없고 법적근거도 없다는 지적이다.
소래포구 상인단체 관계자는 “구가 처음엔 1천만원 정도의 저예산으로 축제를 치르면서 상인들에게 부담금을 요구해 지원했다”며 “하지만 해마다 예산이 늘어 지금은 5억6천만원 정도의 큰 예산을 편성 받았음에도 아직까지 부담금을 요구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벤트 전문가 A씨는 “전국의 수많은 지역축제를 주관해 봤지만 행정당국이 주민들에게 예산을 부담시키는 것은 본적이 없다”며 “어떤 경로로 주민들에게 예산을 부담시켰는지, 또 그 예산이 어떻게 쓰여 졌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구 담당자는 “처음부터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예산을 지원한 것으로 안다”며 “올해는 젓갈상인회, 어촌계 등으로부터 각각 1천만원씩 2천만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문화관광부로부터 예비축제로 선정돼 3천만원의 예산을 지원받는 등 지역의 대표적인 축제로 자리매김하는 소래포구축제가 구의 잘못된 행정으로 갖가지 구설수에 오르면서 문화관광부 ‘유망축제’ 지정에 난항이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