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계업계에는 매출을 주도하는 제품들이 중·고 가격대와 초저가격대로 이분화 되는 양극화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경기 서울 지역 시계제품을 유통시키는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해 전체 매출을 주도 했던 ‘리바이스’, ‘오디엠’ 등의 10 ~ 20만 원대 중·저가 제품들에서 올해 초부터 20 ~ 50만원 가격대의 ‘VESTAL’, D&G 등의 중·고가 제품으로 전환됐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이와함께 저가제품인 ‘CASIO’ 등의 3만원 ~ 5만 원대 제품이 매출을 이끌고 있다”며 “최근들어 소비자들이 구입하는 시계의 가격대 격차가 커지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시계업계의 소비 양극화는 어려운 경제상황에도 시계소비를 주도하고 있는 20~30대 소비자들의 소비 회전율이 높고 시계를 시간적 의미보다는 부의 상징에 대한 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환율 상승 등에 따른 약 10%의 정도의 판매가격 상승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안산지역 시계 판매점을 운영하는 이모(39)씨는 “최근 10 ~ 20만 원대를 찾는 고객보다는 20 ~ 50만 원대를 찾는 고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며“작년 대비 약 15%의 매출신장을 보였다”말했다.
그는 이어 “실제 매출규모는 줄었지만 중·고가 제품들의 매출이 늘어나면서 매출상승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원 갤러리아 백화점 시계 판매업소 역시 매출을 이끄는 가격대가 최소 20 ~50만 원대 이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A’시계유통업체 사장 주모(41)씨는 “남자에게 시계는 ‘패션이 아니라 자존심’이라는 어떤 광고 카피같이 시계는 부의 상징으로서 소장가치에 의미를 두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 씨는 이어 “얼마 전 야구선수 이승엽선수가 출국 때 썼던 모자 상표인 ‘Edhardy’제품의 시계가 한국에는 아직 인지도가 높지 않지만 30만원 이상의 높은 가격에도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초저가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중·저가 제품을 선호하는 구매자들이 중·고가로 전환되면서 소비의 폭이 커졌다”고 덧붙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