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 건설업체들의 부도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정부가 재무구조 및 영업 전망 등이 취약해 정상 영업이 어려운 기업 등 옥석을 가려 지원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건설업계의 부포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2일 금융계에 따르면 올 1월부터 9월까지 부도난 종합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는 총 251개로 작년 동월 대비 47.6%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 시공능력평가 41위인 건설업체 신성건설이 미분양 누적과 심각한 자금압박으로 1차 부도 위기를 간신히 넘기는 등 건설업계 위기감은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는 정부의 10.21 부동산 대책이 부동산 경기를 회복시키지 못했고 건설사들의 부동산 PF대출의 연체 등 부실에 따른 위기로 풀이된다.
금융권의 PF 금융 규모는 6월 말 기준 97조1천억원으로 이중 대출이 78조9000억원,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15조300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은행권의 PF 대출 연체율은 0.64%이고,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14.3%에 달한다. 또 증권사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PF 대출 연체율은 각각 6.57%, 4.2%로 은행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정부는 시장 전문가들이 부실기업에 지속적으로 자금이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음을 지적함에 따라 일시 유동성 위기로 어려움에 처한 것이 아니라 재무구조 및 영업전망 등이 취약하여 구조적으로 정상영업이 어려운 기업의 경우 옥석을 가려 지원할 계획이다.
금융권도 건설업 부실에 대비해 신규 PF 대출을 자제하는 등 특별관리에 나서고 있어 건설업체의 유동성 자금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도내 건설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건설사 부실화시 수분양자 및 협력업체 등의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도급대금 지급보증 처리기간을 기존 6개월에서 3개월 이내로 단축하는 대책 등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져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