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운하 건설사업계획이 최근 확정함에 따라 인천시와 경기도 김포시 등 지역 주민들은 지역 발전 예상에 따라 반기고 있는 반면 경인운하 반대 수도권 공동대책위원회 등 환경단체들은 수질오염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어 경인운하 건설을 둘러싼 논란은 상당 기간 계속될 전망이다.
경인운하 건설계획 확정으로 인천시는 6일 전담팀을 구성, 인천의 의견이 많이 수렴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기로 하고 지역 업체가 많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인천시는 상습 침수지역인 굴포천 유역의 홍수를 예방하고 물류비가 절감되고 인천을 동북아 물류. 문화. 관광 명소로 육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시는 또 운하 인천터미널(108만㎡) 및 운하 남쪽 둑을 따라 건설되는 15.6㎞ 도로와 교량 등과 기존 도로(인천 서구 가정동∼검단동∼김포간 왕복 6차선, 서구 경서동∼인천공항고속도 진입로 구간)를 연결할 방침이다.
아울러 운하 주변인 서구와 계양구도 운하 주변에 레저관광단지와 복합물류단지 조성 등을 시와 정부에 건의하는 등 운하 건설에 따른 지역 개발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김포시도 최근 '운하가 김포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대응방안'이란 용역을 통해 김포터미널(74만6천여㎡)과 연계한 친수공원과 해사부두 조성, 주변 지역개발 방안 등을 수립 중이다.
그러나 경인운하 반대 수도권 공동대책위원회 등 환경단체들은 "기존에 제기됐던 환경영향평가에서 5차례에 걸친 보완사항에 대한 해결 없이 추진하는 것은 탈법에 의한 것인지 의심스럽다"며 "인천 앞바다와 연결되는 경인운하는 해수가 유통될 경우 운하 수질에 오염이 우려된다"고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한편 경인운하 건설공사는 모두 2조2천500억원이 투입돼 이로 인한 신규 일자리 2만5천개가 창출되고 생산유발 효과가 3조원에 이르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 문제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가 상반돼 향후 진행과정에 대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