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친환경 교통체계 구현과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까지 주차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인천시 주차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22일 시에 따르면 이번 계획은 그동안 주차장 공급 위주의 주차정책에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친환경적 교통체계(EST) 조성 필요성과 2009 세계도시축전 및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개최를 위한 선진국 주요도시 수준의 주차질서 정립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수립하게 됐다.
시는 또 주차장은 지난 5년 동안 21만명이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동안 자동차는 8만대가 증가, 주차장확보율도 지난 2003년 기준 70.1%에서 지난해 87.4%로 큰 폭의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시는 전체 주차장 확보율은 증가, 전반적인 주차여건은 개선되고 있으나 주차장 확보율 50% 이하인 주택지역이 187개 블록으로 나타나 지역개발 정도에 따라 주차여건이 양극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시는 주차장 공급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별 수급여건에 따라 복합적이며 차별화된 주차정책을 시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3개 분야 11개 사업을 선정, 올해부터 2014년까지 모두 2천435억원을 투입, 도심부는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과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는 도심 주차수요관리와 건축물 부설주차장 주차상한제, 공영주차장 내부 자전거주차장 설치, 공영주차장 주차정보체계(PIS)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주택가 주차환경개선분야는 부족한 주차장 확충을 위해 기존의 공영노외주차장 건설 사업이 주차구획 1면당 5천만원 이상 소요되는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해 Green Parking사업 중심의 주차장 확충사업을 전개하고 골목길 노상주차장과 부설주차장의 관리체계를 개선, 거주자가 편리하고 깨끗한 주택가 주차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속적인 주차질서 정립을 위해 불법 주정차 단속체계를 정비하고 단속인력을 확충할 계획”이라며 “전국 최초로 유럽과 미주지역 대도시에서 시행하는 간선도로 시간제 주차제도를 도입, 합리적이고 탄력적인 주정차 관리체계를 정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