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에 없던 봄 가뭄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의 식수 대란이 심화되면서 어느 한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국적인 관심사로 떠올랐다. 가뜩이나 심란한 경제위기 상황과 맞물려 물부족 현상의 불안감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것이다. 하늘만 탓할 수도 없는 상황이고 보니 지하수 관리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대책이 올 봄 가뭄을 이겨낼 최소한의 대책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같은 봄 가뭄을 예상치 못했던 것인지 우리의 지하수 관리를 애초부터 별다른 대안을 세우지 못하고 있었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뒤늦게나마 지하수 관리가 엉망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70년대 ‘관정’이라 해서 농업용수 부족 해결을 위한 동네 우물을 논 한가운데에 파놓은 적이 있었다.
관정으로서의 기능을 다한 폐우물에 대한 사후관리 부족으로 식수가 오염되고 오히려 물 부족현상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못쓰게 된 우물은 폐공이라 해서 오염방지를 위한 봉인조치를 해야 한다. 그리고 이 폐공에 대한 사후관리는 각 지자체의 행정력으로 조치했어야 했다.
속수무책으로 손 놓고 있는 사이 지하수는 점점 오염상태가 가중되고 급기야 식수부족 현상에 큰 주범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정부는 2005년 각 지자체로 하여금 지하수를 영업·공업용으로 사용하는 민간인들에게 물이용 부담금을 부담하게 했다. 그리고 이 돈으로 지하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으나 그냥 계획으로 그치고 말았다. 대부분의 우물은 주민 개개인의 부담으로 떠밀었고 그 결과 사후관리에 대한 예산조차 확보하지 못했던 것이다.
90년대만 해도 우리의 산천 어느 곳에서나 땅만 몇 미터 파면 맑디맑은 생수가 솟아 나왔다. 누구라도 물 걱정은 해보질 않았다. 그 우물이 마르면 그대로 방치하고 또 새 우물을 파곤 했던 것이다.
그 결과 폐공의 관리가 가장 중요한 ‘맑은 물 관리’의 원칙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나 이미 때는 늦었다. 제대로 봉인되지 않은 폐공들이 지하수를 오염시켰고 자치단체 등 행정기관은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이다.
이제라도 지하수 사용을 위한 폐공수를 정확히 파악하고 철저한 사후관리에 나서야 한다. 또 지하수도 자원인만큼 조례제정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 식수부족 현상은 강원도 태백시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