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국내 광역시 중 고용허가제로 유입된 외국인근로자 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상공회의소는 지난 3월 17일∼24일까지 지역 내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제조업 286개사를 대상으로 외국인근로자 고용 현황과 실태를 조사한 ‘인천지역 외국인근로자 고용 현황 및 실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지역 외국인근로자 고용은 고용허가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연도별 약 41.9%의 평균증가율을 보이며 꾸준히 그 성장세를 거듭해 왔다. 2008년 말에는 1만 5,632명이 고용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지역 내 전체 취업자 수를 대비한 외국인근로자 비중이 2008년 현재 1.26%로 전국의 취업자 수 대비 외국인근로자 비중인 0.90%보다 0.36%p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근로자 전체의 88.2%가 제조업에 고용돼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지역 내 중소제조업들이 선호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의 표준모델은 고졸학력의 20∼30대 동남아권 외국인근로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인천상의는 “많은 영세 중소제조업이 분포돼 있는 인천의 산업구조 특성으로 인해 내국인 근로자들이 취업을 기피하면서 국내 광역시 중 가장 많은 외국인근로자가 고용돼 있다”며 “기업에서는 산업구조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