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재보선이 종점에 다다르자 과연 누가 당선될지에 대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 수원 장안과 안산 상록을의 경우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향후 국정운영과 당의 운명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 당 지도부가 승리를 거머쥐기 위해 혈안이 돼있다. 그만큼 수도권은 이번 선거에 있어 가장 큰 이슈이자 열쇠라 할 수 있다. 이에 그동안 두 선거구에서의 주요 이슈와 쟁점에 대해 다시한번 돌아본다.
▶수원 장안
박찬숙 vs 이찬열 오차범위 접전
현재 수원 장안은 박찬숙 한나라당 후보와 이찬열 민주당 후보가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박 후보나 이 후보 모두 후보가 되기까지 힘든 과정을 거쳤다.
당초 강재섭 한나라당 전 대표가 수원 장안에 출마할 것이라는 소문이 퍼졌고 박 후보의 출마가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강 전 대표가 출마를 고사하면서 박 후보는 인지도를 갖고 후보로 나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후보는 수원 영통에서 장안으로 옮겼다는 비난을 감내해야 했다.이찬열 후보 역시 출마가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민주당 지도부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의 출마를 종용했다. 하지만 손 전 지사는 출마를 고사하면서 이찬열 후보를 지지했다. 결국 당 지도부는 손 전 지사의 요구에 응해 이찬열 후보를 최종후보로 내세우게 됐다.
초창기에는 박 후보가 인지도로 지지율이 상당히 앞섰다. 하지만 이찬열 후보가 맹추격을 하면서 현재 오차범위 내에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
수원 장안은 전통적으로 보수색이 짙은 지역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여당 견제 여론이 상당히 높아졌고 수원 영통에서 지역구를 옮겼다는 점 때문에 박 후보와 이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 접전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이 후보 역시 한나라당에서 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긴 일이 있기에 표심을 읽는다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안산 상록을
김영환 vs 송진섭 vs 임종인 3파전
안산 상록을은 송진섭 한나라당 후보, 김영환 민주당 후보, 장경우 자유선진당 후보, 임종인 무소속 후보가 접전을 벌이고 있다.
송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로 확정되자 공천에 반발, 탈당을 통해 출마한 후보가 한 두 명이 아닐 정도로 보수후보들의 분열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지역구였다. 반면 민주당의 김영환 후보와 무소속의 임종인 후보 역시 단일화를 시도했으나 막판에 단일화가 무산됐다.
현재 김영환 민주당 후보가 다소 앞서고 있으며 송진섭 한나라당 후보가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으며 그 뒤를 임종인 무소속 후보가 쫓고 있다.
이 지역의 승패의 갈림길은 김영환 후보와 임종인 후보의 단일화 실패를 진보층과 중도개혁층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냐다.
전통적으로 야당 성향이 강한 지역구에 야권의 거물급 두 인물이 출마한 것은 진보층과 중도개혁층의 분열을 야기 시키고 있다. 때문에 송진섭 한나라당 후보가 김영환 후보를 바짝 뒤쫓고 있는 형국을 연출한 것이다.
이에 진보층과 중도개혁층이 두 후보 중 어느 후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가늠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