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추모공원 조성 예정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양상동지역 주민 60여명은 이날 오전 11시경 “짓던 농사 못 먹으면 안산시는 책임져라”, “안산시 혐오시설 모두가 양상동이냐” 등의 피켓과 현수막을 들고 나와 시청 앞마당에서 추모공원 조성 사업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들 주민들은 “이미 양상동에는 공원묘지가 조성돼 있어 매일 10여대의 장사 차량을 보고 있고, 인근 예비군 사격훈련장에서 들려오는 소음까지 참아 오고 있는데 시가 또 다시 추모공원을 조성하려는 것은 양상동을 혐오시설의 집합소로 만들겠다는 것 밖에 더 되는냐”고 반대 의견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또 “50년간 그린벨트로 묶여 재산권 행사도 포기한 채 살아오다 최근에야 일부지역이 그린벨트에서 해제돼 조그마한 희망을 가졌는데 그 희망의 댓가가 고작 공시지가 상승에 따른 세금 증액과 화장장이냐”고 분개했다.
주민 원모(50)씨는 “시가 추모공원을 친환경 첨단 시설로 건립한다고 하면서도 도심 인근지역은 다수의 민원을 우려해 후보지로 검토조차 하지 않았던 것 아니냐”며 “혐오시설이 아니라면 굳이 차단되고 폐쇄된 지역 우선 선정 등을 언급할 필요도 없었다”고 꼬집었다.
그는 또 “시가 시민을 위해 추모공원을 조성한다고 하지만 안산IC 바로 옆에 후보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은 타 지역 주민까지 받아들이겠다는 것을 노골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라며 “아예 안산IC를 화장장IC로 바꾸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민과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해당지역 주민들의 반대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꾸준한 대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오는 2014년까지 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화장로 6기와 봉안시설 6만위, 장례식장, 수목장, 각종 편의시설을 갖춘 추모공원을 조성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9월 추모공원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해 후보지역 현황 조사와 평가에 나서는 한편, 주민토론회와 설명회 등을 통해 주민 설득 작업을 벌여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