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7.4 전당대회’ 지도부 선출 방식을 놓고 계파간 힘겨루기가 전망되는 가운데 이번주 개최되는 의원총회에서 룰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25일 국회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서 의견을 수렴하고 30일까지 전대 경선룰을 결론지을 방침으로 알려졌다.
특히 비대위가 실시한 당헌 개정을 위한 설문조사에는 대권-당권 분리 규정을 비롯해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선거인단 규모 확대, 대의원 투표 70%, 여론조사 30% 등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대 룰 가운데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대목은 ‘대권-당권 분리’ 규정이다.
범친이계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지사가 대권-당권 분리를 규정한 당헌 개정을 촉구하며 ‘전략적 연대’에 시동을 걸었지만, 박근혜 전 대표가 반대하면서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는 지난 19일 황우여 원내대표와 회동에서 “정당정치 개혁에서 후퇴는 있을 수 없다”면서 대권-당권 분리 개정에 반대했다.
이처럼 박 전 대표가 사실상 전대 불출마 입장을 밝히면서 대권-당권 분리 규정은 추동력이 급속히 약화되고 있는 기류다.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에 대해서도 계파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친박계는 박 전 대표가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에 반대 입장을 피력하면서 부정적 의견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쇄신·소장그룹 남경필 의원의 경우는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분리 선출을 하게 될 경우 4선급 이상 중진 의원들이 정치적 부담으로 전대에 나서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비대위 내에서도 부정적 견해가 적지 않다.
다만 박근혜 전 대표가 찬성 의사를 밝혔고 소장파가 반드시 관철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전 당원 투표제는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소장파와 친박계는 선거인단 규모가 커질 경우 ‘쇄신풍’을 일으켜 친이계 구주류의 조직력을 깰 수 있다고 보고 이를 관철시키는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
친이계 구주류측은 선거인단 규모 확대에 내심 불만을 갖고 있지만 “전대 룰은 당의 결정에 따른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당 사무처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실무적으로 준비 가능한 최대 투표인단은 전체 유권자의 0.52%인 20만명이라고 비대위에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대위는 이달 30일 전체회의에서 전당대회 관련 당헌·당규 개정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