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비행장 이전이 국방부 차원에서 추진된다.
한나라당 정미경(수원 권선) 의원은 13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보고에서 김관진 국방부장관에 대한 질문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이날 정 의원은 국방위에서 “(수원비행장)소음으로 인한 집단 소송이 앞으로도 계속 진행될 거고, 배상이 해마다 늘어날 텐데, 이제는 수원비행장 이전문제가 국가적으로 다시 검토해야할, 더 이상 물러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른 것이 아니냐”고 질문했다.
이에 김 국방장관은 “금년도에만 소음으로 인한 배상액이 3천775억에 이르게 된다”면서, “이것은 여건만 갖추게 된다면 비행장 이전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비행장 이전을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밝혔다.
이어 정 의원은 “지금까지 국방부가 시화호를 검토해보니 안되겠다고 결론을 내린 것 등은 알고 있는데, 이제는 장기적으로 대한민국 전체를 보고, 수원기지도 민간 전문 기관에게 용역을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전할 후보지가 어디인지, (기지)통폐합 할 수 있는 부분은 있는지, 전반적으로 용역을 줘서 검토해야할, 필요한 때가 왔다”면서, “한 군데를 지정해서가 아니라 전반적으로, 전체를 보면서 용역을 주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김 장관은 이에 “경기도 지역이 남부지역에 이르기까지 인구 밀집지역이 많기 때문에 이제까지 찾았지만, 마땅한 지역이 없었다”면서 “전문가집단의 용역을 통해서 말씀하신대로 추진해보겠다”고 답변했다.
정 의원은 용역을 추진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국방부에서) 용역을 줄때 그 용역에 저를 포함해서 우리 지역(수원) 주민들도 함께 하실 수 있도록 해줘야한다”고 요구했고, 김 장관은 “예,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함께 정 의원은 “비행장 이전까지는 오랜 시일이 소요되는 사안이기에 장기적인 문제고, 단기적으로는 이미 비상활주로를 해제해서 수원비행장 안으로 이전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니, 완료될 때까지 국방부장관이 적극 살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장관은 이 부분에 대해서도 “대체 활주로는 경기지역의 경제적 가치향상을 위해서 필요한 조치라고 생각하고, 적극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 의원은 질의에 앞서 수십년간 수원비행장 소음으로 인해 고통을 받아왔으면서도, 정작 재판에서 피해보상 대상에서는 제외된 지역민들의 억울한 사연을 담은 자필 편지를 국방부장관에게 직접 전달해 눈길을 끌었다.